주요산업기술 및 기술개발정보
채종원 사업 발자취
채종원 사업 개요
- 수형목 선발에 의한 채종원 조성 5개년 계획수립(1968)
- 소나무, 잣나무 등 7수종 750ha(왕산, 충주, 제주) - 종자수급량 및 채종원 면적 재검토(1988) : 채종원 종자생산 시작(1976)
- 조림수종 다양화에 따른 채종원 조성 및 관리개선 방안 수립(1997, 2000)
현 채종원 698 → 889ha로 확대(신규 76수종 191.1ha) - 조림수종의 다양화로 활엽수 채종원 수종 및 면적 조정 등 정비(2006)
전체 20수종 → 56수종(활엽수 9종 → 41종, 침엽수 9종→15종), 면적 698ha →702ha - 채종원 총괄 업무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로 이관(2008)
'06년 56수종 702ha → '09년 59수종 733.6ha(미고시 31.6ha)
※침엽수 16수종 598.3ha, 활엽수 43수종 135.3ha
「종자공급원 조성·관리 기본계획」수립(2013)
「종자공급원 조성·관리 매뉴얼」발간(2015)
채종림(임분)지정·관리 개선을 위한 일제조사(2015)
「종자공급원 조성·관리 및 우량종자 보급에 관한 시험연구 중·장기계획」수립(2015)
「채종원 조성·관리 추진게획(2017∼2021)」수립(2017)
연도별 조성현황
(단위 : ha)
구 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조성면적 | 11 | 9 | 3.6 | 18.4 | 4 | 51 | 39 |
누적면적 | 747 | 758 | 762.1 | 781.7 | 785.7 | 836.7 | 875.4 |
수형목
채종원전경
종자결실
종자공급기반 확충을 위한 채종원 조성
목 적
개량종자의 안정적 대량생산 기반 구축 및 보속 생산 체계 구축으로 산지자원화 촉진
중점 추진 방향
- 조림수요 다양화에 따른 다목적 채종원 등 종자공급원 조성 확대
※산지 식·약용자원 및 북한 산림복구를 위한 종자공급기반 확대 - 생산성 증대를 위한 수종별 특성을 고려한 채종원 단지 특성화
- 수종 특성 및 환경 생태를 고려한 복합 채종원 조성
- 유전자원 보존 및 육종집단 활용을 위한 클론보존원 조성
접목묘 생산
조 림
종자공급원 조성
기대효과
안정적 대량생산 기반 구축에 의한 고품질 우량종자 생산으로 산지자원화 촉진
개량종자 품질 향상 관리 기법 개발
목적 및 배경
종자품질 관리 기술 개발에 의한 종자의 유전·생리적 질 향상
중점 추진 방향
- 종자품질 향상 및 유전다양성 조절을 위한 유전간벌 기법 개발
- 수종별 개화결실 및 생리특성을 고려한 수형조절 기법 개발
- 채종원 개화결실 특성 구명 및 개화결실 조절 기술 개발
- 고품질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효율적 병충해 방제 기법 개발
- 채종원 종자생산 증대 및 품질 향상을 위한 토양 특성 구명
유전간벌
수형조절 처리
수형조절 처리목
굴삭기 방제
자동분무장치 방제
무인헬기 방제
기대효과
종자 품질 향상에 의한 고품질 우량종자 생산·공급 및 산지 자원화 촉진
저비용 고효율을 위한 관리 생력화 기술 개발
목적 및 배경
- 채종원 등 종자공급원의 생력화에 의한 농·산촌 노동인력란 극복
- 종자공급원의 기계화 등 효율적 관리에 의한 고품질 종자의 대량생산
중점 추진 방향
- 하층식생 관리의 기계화를 통한 관리 효율 향상
- 채종원 관리 기계화 및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관리 생력화
- 채종목 손실방지 및 구과채취 효율화를 위한 구과 장비 개발
-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재운반 시스템 개발
풀베기 기계
단간작업
모노레일
기대효과
저비용·고효율 관리기반 구축에 우량 종자 대량 생산 및 경제성 증진
고품질 종자생산을 위한 종자채취 및 관리시스템 개발
목적 및 배경
- 종자 탈종 및 정선 처리 시스템 구축에 의한 고품질 우량 종자 공급
- ISTA 등 국제기준에 준한 종자품질 확보
중점 추진 방향
- 고품질 종자생산을 위한 종자채취 기술 개발
- 종자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종자생산 단계별 주요 인자 구명
- 과학적 종자처리를 통한 고품질 종자 선별 기술 개발
- 산림종자품질 관리 기술 향상을 위한 종자생리 연구 강화
- 종자품질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장·단기 저장기술 개발
포워드 종자채취
종자탈종
종자선별
품질 검정
종자호흡 측정
장·단기 저장
기대효과
- 종자처리시설 자동화에 의한 종자처리 효율성 향상
- 국제표준품질에 적합한 규격 종자 생산에 의한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
채종원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목적 및 배경
채종원 및 Seedlot별 유전정보, 종자품질 등 종자생산 기본 정보 구축으로 채종원의 효율적·과학적 관리
중점 추진 방향
- 채종원 고정밀 디지털 항공사진 촬영에 의한 공간 좌표 정보 구축
- 채종원 영상자료 분석에 의한 채종원 입지 공간 및 속성정보 DB구축
- 채종원 통합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구축
DB구축계획수립
DTM 분석
위성영상 분석
프로그램 개발
종자공급원 DB 구축
기대효과
- 채종원 등 종자공급원의 유전 및 육종자료 관리 정보화
- 채종원 관리정보 DB 및 GIS 등 IT 기반 구축에 의한 관리 효율성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