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국립수목원은 식물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열대식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열대온실)를 건립하였다. 이 센터는 총면적 3,834㎡의 철골유리 건물로 2008년에 완공되었다. 내부는 열대 우림 및 열대 건조 식물이 생육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웰비치아(Welwitschia mirabilis) 등 희귀 및 멸종식물을 비롯하여 3,000여 종류가 보존되어 있다. 국립수목원은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에 동참하기 위한 노력을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나갈 것이다.
열대식물전시원
총 800여종의 열대우림식물이 식재
-
박쥐란(Platycerium bifurcatum)
고사리과의 열대성 착생 양치식물로 사슴뿔 모양의 잎이 특징이며, 부식토가 모여 쌓인 가죽같은 잎 때문에 착생식물로 살아감. 잎의 뒷면에 포자가 달리며, 익으면 갈색이 됨.
-
파시아타 애크메아(Aechmea fasciata)
혁질의 아치형 잎에, 중앙부에는 저수조직을 가졌으며, 여기서 꽃대가 생겨나서 꽃이 피는 전형적인 브로멜리아드류임. 이 중 파시아타는 가장 유명한 종이며 꽃과 잎 모두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임.
-
아칼리파(Acalypha hispida)
아칼리파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는데 가장 인기 있는 타입은 작은 꽃이 모여 술처럼 보이는(고양이 꼬리라고도 불림) 형태와 잎이 화려한 형태가 있음. 성장이 빠른 관목이며 습기를 좋아하는 대극과(Euphorbiaceae) 식물로 1.8~3.7m까지 자라는 관목성 식물임.
-
아모에나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잎의 무늬가 다양한 디펜바키아류는 실내식물로 많은 인기가 있는 종으로 잎과 줄기를 먹을 경우, 목과 잎에 통증이 생길 수 있음.
아열대식물전시원
총 1,600여종의 열대건조식물과 지중해성 식물 등이 식재
-
알보레스첸스 알로에(Aloe arborescens)
백합과 식물인 알로에는 약 330종이 남부 열대 아프리카에서 마다가스카르, 아랍 반도에 걸쳐서 자라고 있음. 낮게 자라는 다년초로부터 교목, 관목, 덩굴성으로 자라며 잎은 한포기형(로제트형)으로 줄기나 가지 끝에 가시가 있음(식용 알로에는 Aloe vera).
-
드라코 드라케나(Dracaena draco)
카나리 군도를 중심으로 아열대 지역이 자생지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자라는 것이 특징이며 성장이 느림. 껍질이나 잎을 자르면 붉은 즙이 나오는데 이것이 용의 피라고 불림.
-
미라빌리스 벨빗치아(Welwitschia mirabilis)
나미비아 사막의 희귀식물. 두장의 커다란 잎이 띠모양으로 3~3.5m 정도로 자라는데 오래된 잎은 잘 찢기고 비틀림. 종자를 맺어도 건조지대라 발아가 힘들지만 한번 뿌리를 내리면 수백에서 수천 년까지 생명을 유지
-
멜라로이카류(Melaleuca)
약 220종이 있으며, 상록의 관목 또는 교목으로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생함. 자작나무처럼 종이질감의 나무껍질이 층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병솔 모양의 꽃으로 국내에서는 잘 알려져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