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보기
2023년도
2022년도
2021년도
2020년도
2019년도
2018년도
2017년도
2016년도
2015년도
2014년도
2013년도
2012년도
2011년도
2010년도
2009년도
2008년도
2007년도
2006년도
2005년도
이동
2022년 입목벌채허가(신고) 및 용도별 목재공급 실적
목재수급량은 증가하였으나, 목재자급률(15.9%→15.0%)은 하락
목재수급량(천㎥) : (’21) 28,403 → (’22) 28,683 / 증가 1.0%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원목자급률(55.7%→58.6%)은 상승
원목생산량(천㎥) : (’21) 3,852 → (’22) 3,700 / 감소 3.9%
총괄 현황
(단위 : 천㎥)
목재생산 및 수급 현황
이 표는 2021년, 2022년의 목재생산 및 수급현황의 수량 및 비율에 대한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비고
수량
비율(%)
목재수급량
28,403
28,683
280
1.0
-
국산목재공급량
4,502
4,309
△193
△4.3
목재자급률 0.9%p 하락 * ('21)15.9 → ('22)15.0%
목재수입량
23,552
24,162
610
2.6
-
목재수출량
349
212
△137
△39.3
-
입목벌채허가량
4,911
4,742
△169
△3.4
-
원목생산량
3,852
3,700
△152
△3.9
원목자급률 2.9%p 상승 * ('21)55.7 → ('22)58.6%
* 목재수급량 = 국산목재공급량 + 목재수입량 + 목재수출량
목재자급률 감소 원인 분석 벌채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따른 목재생산 확대 어려움 * 벌채량(4,911천㎥→4,742천㎥,△3.4%), 국산목재공급량(4,502천㎥→4,309천㎥,△4.3%) 목재 수입량 증가에 따라 전체 목재 수급량이 증가하여 자급률 하락 * 목재 수입량(천㎥) : (’20) 23,478 → (’21) 23,552 → (’22) 24,162, 2.6% * 목재 수급량(천㎥) : (’20) 27,925 → (’21) 28,403 → (’22) 28,683, 1.0% 금후 목재자급률 향상 계획 벌채 친환경성 제고 및 국민공감대 형성을 통한 목재생산 활성화 * 대면적 벌채지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 의무화, 최대 벌채면적 축소 등 * ‘국산목재이용=탄소중립’, ‘목재생산→탄소흡수량확대’ 등 목재이용 홍보 국내 목재생산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 및 가격 경쟁력 강화 * 임도 확충 및 고성능 임업기계장비 보급을 통해 국산 목재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목재생산 가능면적을 확대 2022년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목재자급률은 15.0%로 2021년 15.9%에 비해 0.9%p 하락 바이오매스용 수입 증가로 목재수입량이 증가한 반면, 국산목재 공급량은 감소하여, 목재자급률은 전년 대비 하락 * 목재자급률(%) : (’19) 16.6 → (’20) 15.9 → (’21) 15.9 → (’22) 15.0 원목자급률은 58.6%로 2021년 55.7%에 비해 2.9%p 상승 국내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원목수입량도 감소하여 원목자급률 상승 * 원목자급률(%) : (’19) 62.0 → (’20) 60.3 → (’21) 55.7 → (’22) 58.6 [2022년 목재수급 및 자급률] (단위 : 천㎥)
2022년 목재수급 및 자급률
이 표는 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기타의 원목,부산물, 제품의 국내재, 수출입재, 자급률(%) 실적에 대한 2022년목재수급 실적표입니다.
구분
합계
국내재
수출·입재
자급률(%)
계
원목
부산물
제품
계
원목
부산물
계
원목
제품
원목
총목재
합계
28,683
6,310
609
21,764
4,309
3,700
609
24,374
2,610
21,764
58.6
15.0
제재용
4,760
2,936
-
1,824
538
538
-
4,222
2,398
1,824
18.3
11.3
합판용
1,835
187
-
1,648
-
-
-
1,835
187
1,648
-
-
펄프용
9,319
738
-
8,581
738
738
-
8,581
-
8,581
100
7.9
보드용
2,706
1,264
-
1,442
1,239
1,239
-
1,467
25
1,442
98.0
45.8
바이오매스용
7,584
490
564
6,530
1,054
490
564
6,530
-
6,530
100
13.9
기타
2,479
695
45
1,739
740
695
45
1,739
-
1,739
100
29.9
* ’19년부터 국내재를 원목과 부산물로 구분 작성
* 기타용도는 주택, 표고자목, 장작, 목탄 등
2022년 입목벌채 허가 실적 벌채면적은 107,042ha로 전년 94,155ha 대비 13.7% 증가 (사업종별) 피해목벌채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수확벌채, 골라베기,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 기타벌채는 감소 (소유별) 국유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민유림에서 크게 증가 (경제림여부) 경제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일반림에서는 크게 증가 벌채량은 4,742천㎥로 전년 4,911천㎥ 대비 3.4% 감소 (사업종별) 수확벌채, 골라베기는 증가하였으나, 피해목벌채,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은 감소 (소유별) 국유림과 민유림에서 벌채량 모두 감소 (경제림여부) 일반림에서는 전년과 같으나, 경제림에서는 감소 [벌채사업종 및 산림구분별 벌채 실적]
(단위 : ha, 천㎥)
벌채 사업종별 벌채실적
이 표는 2021년, 2022년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민유림), 기능별(경제림, 일반림) 벌채면적과 벌채량에 대한 실적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면적
벌채량
%
%
벌채 사업 종별
계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수확벌채
14,998
2,312
14,768
2,369
△230
△1.5
57
2.5
골라베기
4,585
132
3,632
134
△953
△20.8
2
1.5
숲가꾸기
34,666
1,016
34,586
948
△80
△0.2
△68
△6.7
수종갱신
6,473
728
5,670
646
△803
△12.4
△82
△11.3
피해목
29,738
367
45,465
360
15,727
52.9
△7
△1.9
산지전용
3,359
341
2,658
270
△701
△20.9
△71
△20.8
기타
336
15
263
15
△73
△21.7
-
-
소유별
계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국유림
8,240
519
8,092
473
△148
△1.8
△46
△8.9
민유림
85,915
4,392
98,950
4,269
13,035
15.2
△123
△2.8
기능여부
계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경제림
26,057
1,846
21,638
1,677
△4,419
△17.0
△169
△9.2
일반림
68,098
3,065
85,404
3,065
17,306
25.4
-
-
* ’19년이후 벌채구역 면적에서 수림대 및 군상 잔존구를 제외한 실제 벌채면적 적용
2022년 입목벌채지 원목생산 실적 원목생산량은 3,700천㎥으로 전년 3,852천㎥ 대비 3.9% 감소 (사업종별) 수확벌채, 골라베기, 피해목벌채에서 증가하였으나,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에서 감소 (소유별) 국유림과 민유림에서 모두 원목 생산량 감소 (기능별) 경제림과 일반림에서 모두 원목 생산량 감소 생산율은 78.0%로 전년 78.4% 대비 0.4%p 하락 (사업종별) 골라베기, 피해목벌채에서 증가하였으나, 수확벌채,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에서 감소 (소유별) 국유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민유림에서 증가 (기능별) 일반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경제림에서는 증가
(단위 : ha, 천㎥)
이 표는 2021년, 2022년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민유림), 경제림여부(경제림, 일반산림)의 생산량 및 생산율에 대한 실적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생산량
생산율(%)
생산량
생산율(%)
생산량
생산율(%)
%
%
벌채 사업 종별
계
3,852
78.4
3,700
78.0
△152
△3.9
△0.4
수확벌채
2,238
96.8
2,282
96.3
44
2.0
△0.5
골라베기
96
72.7
115
85.8
19
19.8
13.1
숲가꾸기
271
26.7
194
20.5
△77
△28.4
△6.2
수종갱신
651
89.4
561
86.8
△90
△13.8
△2.6
피해목
267
72.8
288
80.0
21
7.9
7.2
산지전용
316
92.7
247
91.5
△69
△21.8
△1.2
기타
15
86.7
13
86.7
-
-
-
소유별
계
3,852
78.4
3,700
78.0
△152
△3.9
△0.4
국유림
405
78.0
334
70.6
△71
△17.5
△7.4
민유림
3,447
78.5
3,366
78.8
△81
△2.3
0.4
경제림 여부
계
3,852
78.4
3,700
78.0
△152
△3.9
△0.4
경제림
1,418
76.8
1,391
82.9
△27
△1.9
6.1
일반림
2,434
79.4
2,309
75.3
△125
△5.1
△4.1
* 원목외 부산물(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축사깔개 등) 수집량 제외
2022년 주요 수종별 벌채 현황 벌채면적 및 벌채량 (벌채면적) 침엽수 71.4%, 활엽수 28.6% - 수종별(%) : 소나무(58.6) > 참나무류(14.8) > 기타활엽수(13.8) > 낙엽송(4.4) (벌채량) 침엽수 56.1%, 활엽수 43.9% - 수종별(%) : 소나무(33.4) > 참나무류(26.0) > 기타활엽수(17.9) > 낙엽송(10.5) 주요 수종별 벌채량 (소나무) 벌채량 1,582천㎥ : 개벌 73.2% >간벌 20.1% > 기타 6.6% * ha당 평균 벌채량 25.2㎥ : 개벌 74.3㎥ > 간벌24.5㎥> 기타3.1㎥ (참나무류) 벌채량 1,235천㎥ : 개벌 77.8% >간벌 22.1% > 기타 0.1% * ha당 평균 벌채량 78.1㎥ : 개벌 147.5㎥> 간벌 29.5㎥ > 기타23.1㎥ (기타활엽수) 벌채량 848천㎥ : 개벌 58.2% >간벌 37.5% > 기타 4.3% * ha당 평균 벌채량 57.4㎥ : 기타 299.6㎥> 개벌 115.9㎥> 간벌 30.6㎥ (낙엽송) 벌채량 498천㎥ : 개벌 87.7% >간벌 12.2% > 기타 0.1% * ha당 평균 벌채량 105.5㎥ : 개벌174.4㎥> 간벌27.8㎥> 기타 15.0㎥ 소유별 주요 수종 벌채량 (국유림) 기타활엽수27.4%>소나무26.3%>낙엽송19.2%>참나무류16.5% (민유림) 소나무34.1%>참나무류27.1%>기타활엽수16.8%>낙엽송9.5% - 지역별 : 경북 17.5% > 강원 16.8% > 충남 10.9% > 충북 9.7% > 경남 9.4% * 소나무 : 강원 23.5% > 경북 22.0% > 경남 13.2% > 충남 9.7% > 전남 8.7% * 참나무류 : 경북 19.7% > 충북 16.5% > 강원 14.5% > 충남 12.9% > 경기 10.2% * 기타활엽수 : 경북 16.2% > 경남 12.5% > 충남 10.6% > 경기 10.2% > 전남 9.2% * 낙엽송 : 강원 29.4% > 충북 17.8% > 경북 13.1% > 전북 7.2% > 경기 6.0% 2022년 용도별 국산목재 생산 실적 국산목재 생산량은 4,309천㎥으로 전년 4,502천㎥ 대비 4.3% 감소 (소유별) 생산량 비율은 국유림 9.4%, 민유림 90.6% - 국유림은 407천㎥으로 전년 485천㎥ 대비 16.1% 감소 - 민유림은 3,902천㎥으로 전년 4,017천㎥ 대비 2.9% 감소 (용도별) 주요 용도별 생산량은 증가, 기타 용도의 생산량은 감소 - 증감률 : 바이오매스(20.8%), 제재(5.2%), 보드(-), 합판(-), 펄프(△2.9),기타(△27.0%) - 비중 : 펄프(47.9%) > 기타(18.0%) > 제재(17.8%) > 바이오매스(15.8%) > 보드(0.3%) > 합판(0.3%) [용도별 국산목재 생산·수집 실적]
(단위 : 천㎥)
이 표는 용도별(제재용,합판용,보드, 펄프,바이오매스, 표고자목, 톱밥, 장작, 목탄), 소유별(국유림, 민유림) 수량, 비율의 2021년,2022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용도별
계
4,502
100
4,309
100
△193
△4.3
제재
731
16.2
769
17.8
38
5.2
합판
12
0.3
12
0.3
-
-
보드
13
0.3
13
0.3
-
-
펄프
2,123
47.2
2,062
47.9
△61
△2.9
바이오 매스
562
12.5
679
15.8
117
20.8
기타
표고자목
183
4.1
160
3.7
△23
△12.6
톱밥
126
2.8
62
1.4
△64
△50.8
장작
40
0.9
49
1.1
9
22.5
목탄
23
0.5
29
0.7
6
26.1
기타
689
15.3
474
11.0
△215
△31.2
소유별
계
4,502
100
4,309
100
△193
△4.3
국유림
485
10.8
407
9.4
△78
△16.1
민유림
4,017
89.2
3,902
90.6
△115
△2.9
* 입목벌채허가신고를 근거로 작성한 것으로 실제 목재 이용 유통량과의 차이가 있음
2022년 목재수출입 현황 목재수입량은 24,162천㎥로 전년 23,552천㎥ 대비 3.3% 증가 (증감률) 바이오매스(21.0%), 기타(12.2%), 펄프(7.4%), 보드(△11.5%), 제재(△11.9%), 합판(△14.7%) (비중) 펄프(34.9%) > 바이오매스(27.0%) > 제재(17.4%) > 합판(7.6%) > 기타(7.1%) > 보드(6.0%) 목재수출량은 212천㎥로 전년 349천㎥ 대비 44.7% 감소 (증감률) 보드(5.3%), 제재(-), 합판(-), 기타(△24.1%), 펄프(△53.3%) (비중) 펄프(69.3%) >기타(12.7%) >보드(12.3%) >제재(2.8%) >합판(2.8%) [용도별 목재 수출입 실적]
(단위 : 천㎥)
이 표는 수입용도별(제재,합판,펄프,보드,바이오매스,기타), 수출용도별(제재,합판,펄프,보드,기타) 수량, 비율의 2021년,2022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입
계
23,552
100
24,162
100
610
3.3
제재
4,952
21.0
4,216
17.4
△736
△11.9
합판
1,977
8.4
1,829
7.6
△148
△14.7
펄프
8,206
34.8
8,434
34.9
228
7.4
보드
1,605
6.8
1,441
6.0
△164
△11.5
바이오매스
5,312
22.6
6,530
27.0
1,218
21.0
기타
1,500
6.4
1,712
7.1
212
12.2
수입
계
349
100
212
100
△137
△44.7
제재
7
2.0
6
2.8
△1
-
합판
4
1.1
6
2.8
2
-
펄프
276
79.1
147
69.3
△129
△53.3
보드
26
7.4
26
12.3
-
5.3
기타
36
10.3
27
12.7
△9
△24.1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근거로 작성하여 입목벌채허가신고 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기타용도는 성형목탄, 목재상자·팔레트, 목공품, 이쑤시개 등
원목시장가격 동향 전년 대비 모든 수종의 원목 시장가격이 상승 유류비 상승에 따른 운반비(물류비) 상승 및 환율 상승에 따른 해외 원목가격 상승 등으로 원목 시장가격 상승 RPS 제도 시행 확대에 따른 바이오매스용 수요 급증으로 산업용재보다 원료재급에서의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용재(2등급) 증감률(%) : 낙엽송(4.6), 잣나무(4.3), 소나무(2.8), 리기다(1.8), 참나무류(0.4) * 원료재 증감률(%) : 낙엽송(17.0), 소나무(11.0), 잣나무(9.4), 리기다(4.8), 참나무류(0.2) [원목 시장가격 동향] (단위 : 원/㎥, %)
원목 시장가격 동향
이 표는 원목 등급별 2019년 4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4분기(a),2022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b), 전년동기대비 증감(b-a) 전년동기대비 증감율(b-a)/a에 대한 안내표입니다.
등급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전년 동기 대비증·감 (b-a)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 (b-a)/a
4분기
4분기
4분기(a)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b)
소나무2등급
189,500
171,700
195,400
201,100
197,800
198,400
200,800
5,400
2.8
소나무원료재
59,500
55,900
70,600
79,100
77,700
77,200
78,400
7,800
11.0
낙엽송2등급
147,300
145,100
179,100
182,900
182,700
184,200
187,400
8,300
4.6
낙엽송원료재
60,100
51,000
63,400
74,100
73,500
72,900
74,200
10,800
17.0
잣나무2등급
141,800
139,000
148,600
157,400
153,600
153,600
155,000
6,400
4.3
잣나무원료재
60,000
56,000
69,400
74,100
74,100
74,100
75,900
6,500
9.4
리기다2등급
119,400
118,400
127,100
130,300
128,900
128,100
129,400
2,300
1.8
리기다원료재
60,900
55,900
70,800
74,300
73,500
73,500
74,200
3,400
4.8
참나무2등급
108,400
104,600
106,300
107,200
106,200
105,700
106,700
400
0.4
참나무원료재
68,000
62,400
75,800
78,900
78,200
76,800
77,700
1,900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