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최초출현

실질적 내용상의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난 문헌은 10세기 초에 고려 승려 도선이 지은 옥룡기(玉龍記)로서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니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의미하는 대간(大幹)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로서 "대간은 끊어 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에 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脈嶺)을 일루었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1760년)로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으며 "백두대간(白頭大幹)"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산맥상황도 나름대로 제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체계화한 것은 1770년경(영조)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로서 백두대간에 대해서 그 용어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관계·순서를 알기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표로 제시 하였습니다. 다만 산경표의 저자나 제작시기에 대하여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우리청에서는 ['96 백두대간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의거 여암의 저서로 추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여암이 지은 [산수고]에 산경의 내용이 있고 이 저술과 거의 동시기에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신경준이라고 보게 되었습니다.)

산맥체계
산맥체계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로, 한국방향, 라오둥 방향, 중국방향에 대한 산맥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산맥은 땅밑 지질에 따라 정리한 개념으로, 지도상에 산맥을 표기하며, 산맥방향을 3가지(한국방향, 요동방향, 중국방향)로 제시합니다.

한국방향

마천령산맥, 낭림산맥, 태백산맥

라오둥 방향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모향산맥, 함경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중국방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 차려산맥, 노령산맥, 소령산맥

백두대간
백두대간에 포함된 산(백두산, 두류산,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지리산), 산맥(장백정간, 청북정맥-낭림산, 청남정맥, 해서정맥, 예성남정맥, 한복정맥, 한남금복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계룡산, 금남정맥, 금남호남정맥, 호남정맥-무등산, 낙남정맥-금정산, 낙동정맥)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속리산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큰 산줄기입니다.

우리나라 땅의 근골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의 옛 이름으로, 백두산을 어미산, 백두대간을 몸체로 표현하여, 지질구조나 구조선의 방향등 지표하의 지구 내부적 구조와 관계없이 지표상의 나타난 산천의 모양과 방향을 기초로하여 표기합니다.

백두대간식 표기

표기의 특징

백두산을 어미산(根,母,始), 백두대간을 몸체(幹,身)로 표현하여 백두산과 백두대간을 인체의 母-體로, 나무의 根-幹관계로 보고있으며 지질구조나 구조선의 방향등 지표하의 지구 내부적 구조와 관계없이 지표상에 나타난 산천(山川)의 모양과 방향을 기초로하여 표기하였습니다. 신경준의 [산경표(山經表)]를 위주로 한 표기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기복은 있으나 단절되지 않은 큰산줄기(大連山脈)
  • 대분수령으로 한반도 北-南走向의 大山脈軸
  • 대간, 정간, 정맥으로 계급화(位階性)
  • 주요 하천의 본류 방향을 기준으로 正脈이름을 붙임.(예 : 낙동강동쪽 → 낙동정맥)
  • 분기(分岐)가 이루어 진 곳에 주요 산들이 위치(두류산, 태백산, 속리산등
  • 지리산은 백두산의 氣가 흘러(頭流)와 축적된 곳으로 보아 두류산으로 표기하고 중요성을 부여하였습니다.
백두대간의 산지체계 인식

수계가 연속적인 것과 같이 산계도 연속되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한반도의 지리적 일체감을 인식할 수 있으며 경관측면에서 첨봉이나 능선 및 생활권역의 연결통로로서 주요고개를 중요시하고 고도가 높은 산능선일수록 위계가 높은 기본줄기로 보았습니다.

줄기의 의미로 연결된 선을 설정하고 폭을 가진 띠의 형태인 산지개념 이므로 지질구조, 지형의 형성과정과 변화등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인문 적인 생활영역을 구분하고 있는 분수계 체계를 중시하며 국토의 일체감 측면에서 백두산과 지리산을 연결하면서 백두산의 상징성을 한반도 전역으로 전파한다고 인식하였습니다.

오늘날 산맥(山脈)식 표기

산맥식 표기의 특징

지질구조선에 의한 산맥체계입니다.
지도상에 산맥을 표기하면서 산계(山系)나 산맥(山脈)의 용어를 사용 하였습니다.
산맥방향을 3가지로 제시하였습니다(한국방향, 요동방향, 중국방향)

산맥식 표기의 출현

백두대간 체계는 지표분수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현행 산맥체계는 지질구조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두 방식 표기의 장단점

성격과 장단점
백두대간과 산맥체계 표기의 성격과 장점에 대한 내용 및 산맥체계의 정보입니다.
구분 백두대간 산맥체계
성격
  • 산과 강에 기초하여 산줄기를 형성
  • 산줄기는 산에서 산으로만 이어짐
  •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자연스러운 선
  • 지하지질구조선에 근거하여 땅 위의 산을 분류
  • 산맥선이 중간에 강에 의해 끊어짐
  • 실제 지형과 불일치하는 가공된 지질선
장점
  • 경관상 잘 보이는 무단절의 분수령을 중심으로 하천, 산줄기 등의 파악이 쉬움.
  • 따라서 산지이용계획과 실천에 편리함
  • 풍수지리적한국지형과 山系의 이해에 편리
  • 국제관행에 부합됨
  • 산맥형성의 원인과 관련성이 높음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3.6/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