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은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삶의 기본적 토대이자 공동자원임
산림복지 수혜인구 : '22.11. 2,243만명 / '21년 6만명
국가는 산림의 공공재적 가치를 이용하여 사회
산림은 국민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뿐 아니라, 경제적 가치 이외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최적의 공간임
산림청, 소속 · 관계기관 모두가 전력투구로 기승전 일자리 실현
추진단계별 전략 및 6개 유형별 세부 일자리 정의
사람 중심의 산림순환경제로 ’22년까지 일자리 6만개 창출
* 산림일자리발전소 : 산림일자리 발굴, 사회적경제 육성, 산림비즈니스 창업지원 역할 수행
도입기(’17~’18) | 성장기(’19~’21) | 성숙기(’22~) | |
---|---|---|---|
공공 | 현황 분석 및 제도 정비 | 단계적 공공인력 확충 | 공공서비스 기능 강화 |
민간 | 전문일자리 신규 발굴 | 산림산업 육성, 창업 확대 | 임업경제 성장 주도 |
사회적경제 | 사회적경제 육성기반 구축 |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 | 사회적경제 모델 확산 |
공공일자리 |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 고용되는 정규직 일자리 |
---|---|
사회서비스 | 산림휴양, 교육, 치유 등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
지역산업일자리 | 지역의 산림자원을 활용한 임업활동을 통해 산촌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소득성장을 견인하는 일자리 |
직접일자리 |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정부가 직접 임금을 지불하는 한시적 성격의 재정지원 일자리 (공공업무지원형, 경기대응형) |
사회적경제ㆍ창업 | 사회적경제 기업 육성 및 창업활동 지원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
전문일자리 | 신규 자격제도 시행, 전문직종 신규 일자리 |
산림의 조성ㆍ관리ㆍ생산ㆍ가공ㆍ유통ㆍ이용의 전 과정이 단절 없이 순환되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산림비지니스 성장
* 임업, 임산물재배업, 토석채취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산림부문 총 일자리 규모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