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일자리와 휴식공간으로 재창조에서 산림자원순환경제 구축을 통한 일자리 6만개 창출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
공공일자리 | 공공일자리 현황분석 | 산림재해 안전 복지 분야 공공일자리 단계적 출원 | ||||
산림서비스 일자리의 공공일자리 전환 시범 적용 | 좋은 일자리 전환 및 확대 | |||||
민간일자리 | 新산업 산림일자리 모델 발굴 | 산림산업 창업·육성 | 산림비즈니스 확대 | |||
산림서비스 민간일자리 확대 | 민간일자리 안전성 제고 | |||||
사회적경제 | 사회적경제 주체 발굴 · 육성 | 산촌 등 지역커뮤니티 대상 사회적경제 육성사업 시범 적용 |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모델 확대 |
구분 | 일자리 소개 | 목표 | 실적 |
---|---|---|---|
공공일자리 |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 신규로 고용되는 일자리 | 132명 | 72명 |
사회서비스 | 산림휴양, 교육, 치유 등 산림복지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 3,510명 | 2,852명 |
지역산업일자리 | 지역의 산림자원을 활용하는 임업활동을 통해 산촌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소득성장을 견인하는 일자리 | 10,411명 | 7,097명 |
직접일자리 |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정부가 직접 임금을 지불하는 한시적 성격의 재정지원일자리 | 14,445명 | 14,299명 |
사회적경제·창업 |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및 창업활동 지원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 312명 | 148명 |
전문일자리 | 신규자격제도 시행, 전문 직종 신규일자리 | 2,236명 | 1,677명 |
소계 | 31,046명 | 26,145명 |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