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일자리 소개
- 관련문의
- 각 분야 채용은 행정정보-알림정보-채용정보에서 확인,
산림산업 전문인력 양성·배치
산림소득 증대를 위한 전문 컨설턴트 및 임산물 생산통계 정확성 제고
- 농산촌 고령화, 귀농산촌 인구 증가 등에 따라 귀산촌인 정착 지원을 위한 산림소득사업 전문 컨설팅 및 임산물 정보자료 제공 등 필요
- 임산물 생산 기술지도, 각종 소득지원 상담 및 임산물 통계 신뢰성 강화 등을 위한 전문 인력 배치
- * 산림소득 전문인력 배치 40명, 임산물 통계 전문조사원 383명
목재제품 품질관리 및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ㆍ배치
- 국산목재 고급화를 위한 제재목 등급 구분 및 품질관리로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유통질서 확립 필요
* 외국산 제재목은 등급구분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가능하나, 국내산 제재목은 등급구분이 없어 불법제품 유통으로 분쟁이 다수 발생 - 목재제품 품질 강화를 위한 재제목 등급구분사 양성 · 배치 및 목제재품의 규격 · 품질 표시 단속 강화로 국산 목재의 고부가가치 창출
* 제재목 등급구분사 500명, 목재이용감시원 309명
제재목 등급구분사 운영 프로세스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등을 위한 나무의사 제도 도입 등 전문업 육성
-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생활권역의 수목병해충 관리를 안전하게 수행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필요
* 실태조사 결과(’15년) : 비전문가의 수목병해충 방제(80%), 부적정 약제사용(69%) - 나무의사 등 수목진료 전문가를 양성 · 배치하여 수목피해의 예방 · 진단 · 치료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수목진료체계 구축
* ’22년까지 나무의사 및 수목치료기술자 1,600명 양성 · 배치
나무의사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