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관리과제 소개

관리과제(자세한내용은 아래참조)

임무

산림이 가진 경제·환경·사회적 기능이 잘 발휘되도록 산림자원을 조성·보호하고 이용하며, 임업을 육성함으로써 국토보전과 국가경제 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비전

경제·사회·환경 임업이 조화를 이루는 산림 르네상스 시대 창출

전략목표: Ⅰ.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육성 및 기반 구축
성과목표 : 1.산림가치극대화
  • 관리과제
    • ①산림자원 순환 체계 구축 및 경제림 육성
    • ②국유림의 합리적 경영·관리를 통한 대국민 기여도 제고
성과목표 : 2.산림의 탄소 흡수 증진 및 생명자원 기반 강화
  • 관리과제
    • ①산림탄소흡수량과 생명자원의 효과적 관리·활용
전략목표: Ⅱ. 산림복지를 통한 산림의 사회문화적 기능 확대
성과목표 : 1.산림복지서비스확대
  • 관리과제
    • ①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확대 및 산촌 활성화
    • ②산림휴양 · 등산 서비스 제공 기반 확대
    • ③산림교육 · 치유 프로그램 활성화
성과목표 : 2.도시 녹색 인프라 확충
  • 관리과제
    • ①도시민을 위한 생활권 녹색 인프라 확충
    • ②녹색인프라 중심 정원기반 확충
전략목표: Ⅲ. 산림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제임업 육성
성과목표 : 1.임업인 소득증대
  • 관리과제
    • ①임산업 경쟁력 강화 및 임업인 경영 안정화
    • ②임업직불제 안정적인 정착을 통한 수혜 확대
    • ③임산물 수출확대 및 통상대응강화
성과목표 : 2.목재산업 경쟁력 강화
  • 관리과제
    • ①목재이용활성화
성과목표 : 3.산림 R&D실용화 및 일자리 창출
  • 관리과제
    • ①산림분야 R&D 실용화 확대
    • ②산림분야 일자리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
전략목표: Ⅳ . 산림재난 대응 및 산림생태계 보전·복원 강화로 국민 생명·산림 자원 보호
성과목표 : 1. 산림생태계의 체계적인 보호·관리
  • 관리과제
    • ①합리적 산지이용 체계 구축 및 산지 규제개선
    • ②산림생물 다양성 유지 · 증진
    • ③한반도 핵심생태축의 체계적 보호 · 복원
    • ④기후 · 식생대별 국립 수목원 조성
성과목표 : 2.산림재해대응 체계 고도화
  • 관리과제
    • ①(핵심)산불예방ㆍ대응 체계 고도화
    • ②견고한 산사태 재해 안전망 구축
    • ③산림병해충 맞춤형 방제체계 구축
전략목표: Ⅴ. 산림분야 국제협력 확대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성과목표 : 1.산림분야 국제협력 확대
  • 관리과제
    • ①사람,평화,상생번영을 중심으로 국제산림협력증진
    • ②남북산림협력 기반 구축을 통한 그린데탕트 구현
성과목표 : 2.산림보전을 위한 세계 녹화 주도
  • 관리과제
    • ①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해외 산림협력 강화

산림정책평가위원회 현황

행정지원 소위
  • 김미경(상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박재표(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팀장)
  • 성시경(단국대학교 공공관리학과 교수)
  • 박한준(한국조세재정연구원 정부투자분석센터장)
  • 이미라(기획조정관)
  • 평가대상분야
    • 행정관리역량평가(조직, 인사, 정보화), 통합재정사업
국제산림협력 소위
  • 노동운(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박미선(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교수)
  • 이혁우(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정헌주(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박은식(국제산림협력관 국장)
  • 평가대상분야
    • 성과관리 시행계획 주요정책부문 중 "국제산림협력관" 소관 관리과제
    • 국제협력, 해외자원, 임업통상, 남북산림협력
산림산업정책 소위
  • 강정석(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구자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연구위원)
  • 박용준(대전충남생명의숲 운영위원장)
  • 안기완(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
  • 심상택(산림산업정책국 국장)
  • 평가대상분야
    • 성과관리 시행계획 주요정책부문 중 "산림산업정책국" 소관 관리과제
    • 산림정책, 산림자원, 목재산업, 사유림경영소득, 국유림경영, 임업직불제
산림복지 소위
  • 김소민(한국농산어촌네트워크 대표이사)
  • 김승종(국토연구원 연구위원)
  • 박상기(㈜컨설팅앤컨설턴트 대표이사)
  • 이주희(대구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강혜영(산림복지국 국장)
  • 평가대상분야
    • 성과관리 시행계획 주요정책부문 중 "산림복지국" 소관 관리과제
    • 산림복지정책, 산림휴양등산, 산림교육치유, 산지정책, 산림일자리창업
산림보호 소위
  • 엄정희(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과 교수)
  • 최윤호((사)백두대간숲연구소 정책실장)
  • 김창수(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황혜신(한국행정연구원 평가연구실장)
  • 김용관(산림보호국 국장)
  • 평가대상분야
    • 성과관리 시행계획 주요정책부문 중 "산림보호국" 소관 관리과제
    • 산림환경보호, 산림생태복원, 도시숲경관, 정원, 수목원조성사업
산림재난관리 소위
  • 한상섭(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교수)
  • 송창영(광주대학교 방재안전학과 교수)
  • 정준호(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조성(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 이종수(산림재난통제관)
  • 평가대상분야
    • 성과관리 시행계획 주요정책부문 중 "산림재난관리" 소관 관리과제
    • 산불방지, 산사태방지, 산림병해충방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3.8/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