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의 전통정원 화보집은 국립수목원에서 2010년부터 수행한「수목원에 적용 가능한 한국 전통정원 조성에 관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전통정원에 식재된 식물의 배치와 흔적을 옛 그림과 고서에 남겨진 기록을 찾아 분석하는 연구의 결과물이다. 우리 조상들이 어떤 사상과 이념을 가지고 각 정원의 식물을 선정하고 도입하였는지, 정원의 한 구성요소로서 식물이 시대적으로 갖는 다양한 의미와 연계성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는 전통정원의 모습을 제대로 남기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사진자료와 함께 현재 존재하고 있는 식물들을 정확하게 동정하였고, 「국가표준식물목록(산림청)」을 참고하여 기록하였다.「한국의 전통정원」화보집은 총 26개소의 전통정원을 궁궐 정원, 별서 정원, 주택정원, 서원 정원, 사찰정원 등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정원별 전체 이미지, 각 정원 안에 심겨진 식물의 종류와 배치, 식물이 가지는 의미 등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간되는「한국의 전통정원」(Traditional Korean Gardens) 화보집은 지난 2011년 발간되었던「한국의 전통정원」화보집을 수정·보완하여 외국에서도 한국의 전통정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글과 영문을 병행하여 정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