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도서지역에
자생하는 희귀식물 이야기
섬현삼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울릉도 해안가 일대에 분포되어있는 섬현삼
섬현삼(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는 우리나라의 울릉도 숲속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가 1m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잎은 난형으로 중앙부에 달리는 잎이 가장 크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6-7월 줄기 끝에 녹색이 도는 검붉은 자주색으로 원추꽃차례에 무리지어 달리며, 열매는 난형으로 삭과로 익습니다. 섬현삼은 울릉도의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고 있으나, 해안도로 건설 및 자연재해로 인한 서식지 및 아개체군의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되어 보전대책이 필요한 수종입니다.
유래 및 분포
섬현삼의 속명 Scrophularia는 같은 속의 S. nodosa의 괴근이 결핵성 경부임파선염(scrophula)를 치료하는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현삼과 현삼속 식물을 말하며, 종소명 takesimensis는 ‘울릉도에 자라는’ 이라는 뜻으로 ‘울릉도(섬)에서 자르는 현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섬현삼은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울릉도 해안가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울릉도는 눈과 비가 많이 오고 기후가 따뜻하여 많은 희귀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 이름에 ‘섬-’이 들어가는 대부분은 울릉도에 서식하는 식물들을 말한다고 봐도 무난할 것입니다.
섬현삼의 활용가치
섬현삼은 현삼, 큰개현삼, 토현삼과 함께 뿌리를 玄蔘(현삼)이라 하며 약용하는데, 滋陰(자음), 降火(강화), 祛煩(거번), 해독에 효능이 있습니다. 열병에 의한 煩渴發斑(번갈발반-皮膚發赤(피부발적)), 骨蒸勞熱(골증노열), 夜寢不寧(불면증), 自汗盜汗(자한도한), 津傷便秘(진상변비-體液障碍(체액장애)에 의한 변비), 血吐(혈토), 鼻出血(비출혈), 咽喉腫痛(인후종통), 癰腫(옹종), (나력)에 효과가 있어 약재로 많이 이용합니다. 또한, 꽃이 져도 잎과 열매의 관상 가치가 있어 원예용 및 관상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개체수는 매우 적으며, 자생지 주변 개발 및 강풍, 태풍 등 자연재해에 따른 개체수의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보호와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위협요인 및 보전방안
섬현삼은 울릉도 내 분포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전체 개체수는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어 국립수목원에서는 멸종위기(CR; Critically Endangered)로 평가되며,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섬현삼의 주요 위협요인은 해안도로 개발과 정비, 약용 및 관상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채취 등의 인위적 요인과 강풍, 태풍 등 자연재해 및 갯제비쑥, 갯메꽃 등 경쟁 식물(천이)에 의한 피압 등 자연적 요인으로 구분되어 관찰됩니다.
섬현삼의 보전을 위해 자생지 내 경쟁 식물에 의한 위협요인을 제거하여 식물이 지속가능한 최소한의 개체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또한, 세계식물보전전략(GSPC) 2020의 16개 실천목표에 따라 위협종의 현지외 보전과 복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국민 인식의 변화를 위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교육과 홍보 등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참고문헌>
IUCN. 2012.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sion 4.0.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IUCN. ⅲ+41pp.
Kim, S. S., K. H. Kang, S. G. Kang, H. T. Shin, G. H. Cho, Y. Y. Kim, M. S. Lee and B. H. Yang. 2013. A Discovery of New Habitats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5): 83-9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Sumeunkil Publishing Co. Seoul. Korea. 148pp.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Useful Resource Plants of Dokdo and Ulleung Island in Korea. Sumeunkil Publishing Co. Seoul. Korea. 242pp.
Lee, J. H., H. J. Cho and T. C. Hur. 2006.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6): 521-5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Incheon, Korea. 142pp
Song, H. K., S. K. So, M. Y. Kim, J. M. Park, S. H. Lee and G. S. Park. 2007.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Forest Community of Ulleung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 82-92.
Yang, S. G. 2009. Plant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Ulleung-do Provi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84pp.
식물자원연구과
박사후연구원 문애라, 김소담 석사후연구원 염다빈, 김휘민 임업연구사 손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