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21
DMZ 생물
다양성 이야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마장터 일대의 식물다양성
 
마장터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와 고성군 토성면 도원리를 연결하는 길이다. 70년대 초까지 진부령과 미시령의 도로가 생기기 전 영동과 영서를 연결하는 길이었다고 전해진다. 마장터를 넘는 산 이름이 지름길이라는 뜻을 가진 샛길인 샛령이라고도 불린다. 마장터 일대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유형 중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유형으로 총 면적 275ha로 2009년에 지정되었다.
마장터 일대 계곡부 전경
마장터 일대 위치

식물상
마장터 일대 대상 식물상 조사 결과, 총 85과 214속 308종 4아종 39변종 3품종 354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마장터 일대 관속식물상 종조성표>
구분 아종 변종 품종 소계
양치식물 8 14 17 1 2 0 20
나자식물 1 2 4 0 0 0 4
피자식물 76 198 287 3 37 3 330
쌍자엽식물강 67 172 251 3 32 2 288
단자엽식물강 7 26 36 0 5 1 42
합계 85 214 308 4 39 3 354
조사된 식물 중 희귀식물은 14분류군, 특산식물은 9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요 희귀 및 특산식물은 계곡부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침입외래식물은 마장터 일대 서쪽에 위치한 군부대 사격장 주변 숲 가장자리와 트래킹 길의 주변에 확산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장터 일대 희귀식물 목록>
과명 학명/국명 등급
작약과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VU
(Vulnerable, 취약종)
초롱꽃과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금강초롱꽃
석송과 Lycopodium annotinum L. 개석송 LC
(Least Concern. 약관심종)
미나리아재비과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범의귀과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제비꽃과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물푸레나무과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Kim 정향나무
가지과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마타리과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백합과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말나리
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연영초
<마장터 일대 특산식물 목록>
과명 학명/국명
버드나무과 Salix koriyanagi Kimura 키버들
미나리아재비과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Clematis fusca var. coreana (H.Lev. & Vaniot) Nakai 요강나물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범의귀과 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광나무
콩과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인동과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백합과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 Tamura 처녀치마
<마장터 일대 침입외래식물 목록>
과명 학명/국명
마디풀과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명아주과 Atriplex hastata L. 창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십자화과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Erigeron strigosus Muhl. 주걱개망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금강초롱꽃
등칡
금마타리
도깨비 부채
처녀치마
홀아비꽃대
오갈피나무
마장터 일대 군부대 사격장

식생
마장터 일대의 식생은 8개의 유형으로 조사되었고, 이 중 신갈나무 군락이 59.1%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군락의 층위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의 물푸레나무, 소나무, 고로쇠나무, 서어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고, 관목층은 진달래, 철쭉, 생강나무 등이 혼재하고 있었다. 초본층은 노루오줌, 산앵도나무, 조릿대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마장터 일대의 대부분의 능선부는 오래된 소나무 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장터 일대 식물 군락 현황>
유형 면적(ha) 백분율(%)
신갈나무 군락 190.5 59.1
소나무 군락 80.1 24.9
갈참나무 군락 18.6 5.8
기타 참나무류 군락 12.2 3.8
물푸레나무 군락 11.7 3.7
가래나무 군락 3.8 1.2
서어나무 군락 3.4 1
고로쇠나무 군락 1.7 0.5
합계 322.1 100
마장터 일대 현존식생도
신갈나무 군락
신갈나무-조릿대 군락
소나무 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 군락
마장터 일대는 아직까지 사람의 발길이 많이 닿지 않은 곳이다. 최근 들어 마장터의 트래킹 코스를 방문하는 등산객이 많아지고 있는데 마장터 일대의 훼손되지 않은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다양한 식물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한다면 마장터 일대의 다양한 식물들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DMZ자생식물연구과
박사후연구원 안종빈, 김상준, 이아영     석사후연구원 윤호근, 김동학, 송진헌, 유승봉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