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22
한반도 도서지역에
자생하는 희귀식물 이야기
문주란
Crinum asiaticum L. var. japonicum Baker
 
문주란(Crinum asiaticum L. var. japonicum Baker)은 제주도 해변의 모래밭이나 바닷가 근처 풀밭에서 주로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며, 둥근모양의 뿌리줄기가 있고 높이가 50cm정도로 자라는 수선화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잎은 넓고 긴 선형에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고 광택이 있습니다. 꽃은 7~9월 잎 사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 모여 달리며, 백색으로서 향기가 있습니다. 열매는 둥글며 삭과로 익고 종자는 회백색입니다.
유래 및 분포
문주란은 ‘아름다운 구슬처럼 생긴 난초’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이름과는 달리 난초과가 아닌 수선화과에 속합니다. 해류를 타고 흘러온 종자가 뿌리를 내려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역 주민들은 ‘예반초’ 또는 ‘왜반초’라고 부르기도 하고 영명은 ‘Poison-bulb’로 불립니다. 한국과 일본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문주란속(Crinum)이 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제주도에만 자생지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문주란
인구증가와 이로 인한 토지이용 증가, 서식지의 감소 및 질적 쇠퇴. 기후 변화, 생물종의 남획 등과 같은 다양한 교란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은 매년 소실되는 종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 대상종을 선발하였으며, 총 571 분류군(EW 4종, CR 144종, EN 122종, VU 119종. NT 70종, DD 112종)을 선정하였습니다. 문주란은 위급하지는 않지만 가까운 미래에 자생지에서 매우 심각한 멸종위기에 직면한 위기종(Endangered Speices, EN)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활용가치
문주란은 꽃이 아름답고 관상적 가치가 높아 원예 및 화훼 등 관상용으로 보급되어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잎과 뿌리와 열매는 오랫동안 약용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약용으로서 잎은 ‘나군대’라고 하며 淸熱(청열), 해독, 散瘀(산어),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습니다. 뿌리는 ‘나군대근’라 하며, 咳嗽(해수), 喉痛(후통), 타박상, 牙痛(아통)을 치료합니다. 열매는 ‘문주란과’라고 하며 閃筋(섬근)으로 인한 종통(腫痛)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고 합니다. 문주란의 추출물은 질병 예방 및 치료의 의약품으로 활용가능하며, 많은 연구들에 의해 검증되고 있습니다. 샴푸와 향수 등 다양한 뷰티산업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위협요인 및 보전방안
과거 제주도 토끼섬에 흔히 발견되었으나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자생지의 개체 수 손실로 이어졌지만 제주도 내 관광지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문주란은 국내에 널리 보급되어 조경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자도 발아가 잘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일부 해안도로에 식재된 개체들은 자연상태하에서 개체번식을 하여 분포역을 넓히고 있어 개체에 대한 보존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채취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과 사구의 이동, 천이 등의 자연적 요인으로부터 자생지의 소실이 우려됩니다. 문주란의 자생지인 제주도의 토끼섬이 북방한계지역으로서 자생지 보존 대책 수립의 필요가 요구됩니다.
<참고문헌>
Ceballos, G., Rodríguez, P., Medellín, R. A. 1998. Assessing conservation priorities in megadiverse Mexico: mammalian diversity, endemicity, and endangerment. Ecological Applications, 8(1), 8-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332pp.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Sumeunkil Publishing Co., Seoul, Korea. 412pp.

Lee, T. B. 1985. Endemic and rare plants of Mt. Hall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Vol..-No..6, 1-16.

Pimm, S. L., Jenkins, C. N., Abell, R., Brooks, T. M., Gittleman, J. L., Joppa, L. N., ... & Sexton, J. O. 2014. The biodiversity of species and their rates of extinction, distribution, and protection. Science, 344(6187), 1246752.

정종길. 2016. 한국산 수선화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31(1), 41-47.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산림청 국립수목원. 2017. 제주의 희귀식물. 제주.
식물자원연구과
석사후연구원 김휘민, 염다빈     박사후연구원 김소담, 문애라     임업연구사 손성원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