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23
우리나라 정원이야기
양평 물의 요정과 함께하는 역마을 정원
-손주들이 찾아오고 싶은 할머니의 마을-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송현리 234-1번지 일대에 위치한 ‘물의 요정과 함께하는 역마을 정원’은 2018년도 ‘경기도 시민참여형 마을 정원 만들기 사업’을 통해서 조성되었습니다.
1996년부터 ‘송현리를 사랑하는 모임’이 조직되어 각종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왔으며, 2009년 경기도 지원 사업으로 체재형 주말농장 ‘클라인가르텐’ 사업을 지원받아 운영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있는 마을입니다. 대상지 일대는 평범한 논과 밭이었고 산책로 주변은 헐벗은 상태였습니다.

‘물의 요정과 함께하는 역마을 정원’은 뚝방길정원, 기차정원, 먹거리정원, 물의정원, 홍보정원, 꽃담정원 6곳으로 조성되었습니다.

1. 뚝방길정원 : 산책로 양쪽에 그라스류를 식재. 바람에 흔들리는 식물을 보며 주민들이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사색의 장소 마련.
2. 기차정원 : 조선 시대 역참이 있던 송현1리의 역사를 담은 정원. 과거에는 말이 쉬어가던 역참이 현재는 주민들이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쉼터.
3. 먹거리정원 : 먹을 수 있는 식물 위주로 선별해 식재함. 주민이 직접 가꾸고 마을의 구심점이 되어 수익을 주는 생활형 정원.
4. 물의정원 : 수련 품종 중 하루 종일 꽃이 피는 수련 위주로 조성된 정원.
©양평시민의소리
5. 홍보정원 : 1년생 초화류 식재를 자제하고, 야생 튤립과 알리움 등 다년생 구근을 위주로 조성된 정원.
6. 꽃담정원 : 기존 10개의 펜스와 담을 정비해 덩굴식물과 키가 작은 식물을 식재. 주민들의 생활을 보장하면서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쉼터 제공.
©2019 경기도 시민참여형 마을정원만들기 프로젝트 스토리북
정원에 식재된 주요 수종은 교목류 3종, 관목류 5종, 만경류 3종, 지피 및 초화류 26종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초화류의 경우 한해살이풀보다 여러해살이풀을 식재하여 정원 식재관리의 지속성을 추구하였습니다. 주요 수종 중에 자생식물은 37.84%(14종), 재배식물은 56.76%(21종), 귀화식물 5.4%(2종)으로 재배식물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구분 상록성 낙엽성
목본류 교목류 섬잣나무 (자생)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왕벚나무 (자생)
Prunus yedoensis Matsum.
처진자작나무 (재배)
Betula pendula Roth
관목류 눈향나무 (자생)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Henry
화살나무 (자생)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무궁화 (재배)
Hibiscus syriacus L.
쥐똥나무 (자생)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라일락 (재배)
Syringa vulgaris L.
만경류 아이비 ‘글레이셔’ (재배)
Hedera helix 'Glacier’
능소화 (재배)
Campsis radicans 'Indian Summer’
담쟁이덩굴 (자생)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구분 1년생(한해살이풀) 다년생(여러해살이풀)
지피

초화류
코스모스 (귀화)
Cosmos bipinnatus Cav.
노랑코스코스 (귀화)
Cosmos sulphureus Cav.
댑싸리 (재배)
Bassia scoparia (L.) A.J.Scott
속새 (자생)
Equisetum hyemale L.
꿩의비름 (자생)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Ohba
매발톱 (자생)
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 Zucc. var. oxysepala (Trautv. & C.A.Mey.) Kitam.
김의털 (자생)
Festuca ovina L.
범부채 (자생)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
둥굴레 (자생)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var. pluriflorum (Miq.) Ohwi
수크령 ‘하멜른’ (재배)
Pennisetum alopecuroides ‘Hameln’
참억새 '모닝 라이트’ (재배)
Miscanthus sinensis 'Morning Light’
참억새 '딕시랜드’ (재배)
Miscanthus sinensis 'Dixieland'
붉은휴케라 (재배)
Heuchera sanguinea Engelm.
가는잎나래새 (재배)
Stipa tenuissima Trin.
수잔루드베키아 (재배)
Rudbeckia hirta L.
설악초 (재배)
Euphorbia marginata Pursh
털쥐꼬리새 (재배)
Muhlenbergia capillaris Trin.
가우라 '시스키유 핑크' (재배)
Gaura lindheimeri 'Siskiyou Pink’
가우라 '훨링 버터플라이스’ (재배)
Gaura lindheimeri 'Whirling Butterflies'
블루페스큐 '일라이저 블루' (재배)
Festuca glauca 'Elijah Blue’
팜파스그래스 '서닝데일 실버' (재배)
Cortaderia selloana 'Sunningdale Silver’
대상화 '셉템버 참' (재배)
Anemone x hybrida 'September Charm’
두메부추 (자생)
Allium senescens L.
홍띠 (재배)
Imperata cylindrica 'Rubra’
돌단풍 (자생)
Mukdenia rossii (Oliv.) Koidz.
꽃범의꼬리 (재배)
Physostegia virginiana (L.) Benth.

주민들은 2016년부터 정원조성을 위해 전문가의 코칭을 받았다고 합니다. 주민들이 마을정원사 교육과 꼬마정원사 교육을 이수하고, 국내 정원선진지 20여 곳을 현장답사를 다녀오기도 했답니다. 조성 이후 2018년 9월에 마을주민과 정원전문가들로 구성된 마을정원추진주체가 ‘그랜드마마’ 마을정원 축제를 열어 꽃씨 나누기, 말린꽃 액자 만들기, 화분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주민들이 참여해 만든 마을 정원을 통해 동네 분위기가 활발해지고, 주민 간의 사이가 좋아졌다고 합니다. 현재 정원 관리를 참여하는 사람만 하고 있는 상황인데 주민 모두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합니다.
주민 스스로 전문가를 찾아 조성한 사례로 주민 주도형 성공사례로 손꼽히고 있는 양평의 ‘물의 요정과 함께하는 역마을 정원’. 역 마을의 역사적 특성을 살려 테마공간을 조성한 세 번째 사례지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 경기도 시민참여형 마을정원만들기 사업 : 정원과 꽃을 매개로 마을공동체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모티브 부여 및 공동체 활성화 확산을 위한 사업으로 2018년 3월-11월에 진행되었고, 경기도 31개의 시·군 중 13개 시·군이 참여했으며 총 21개소의 마을정원이 조성되었다.
· 자생식물 : 일정한 지역에서 원래부터 살고 있던 토착식물 또는 일정 지역에서 사람의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 상태 그대로 자라는 식물
· 재배식물 : 야생이 아닌 재배하여 기르는 식물
· 귀화식물 :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와 토착화된 식물

<참고문헌 및 사진>
양평시민의소리, https://www.yp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14
2019 경기도 시민참여형 마을정원 만들기 프로젝트 스토리북
수목원정원연구센터
연구원 박지원     임업연구사 송수정     임업연구관 진혜영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