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29
유용식물
이야기
‘바위수국’ 삽목 증식법
 
   일본, 한국,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 공원과 도로에 대한 식재에 대하여 야생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야생화 생산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이 증가는 야생화 판매에 기여하고 있다(MaDonald and Kwong, 2005). 울릉도와 남쪽섬에서 자생하고 있는 자생식물인 바위수국(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은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며 5월 말에서 6월 초 가지 끝에서 난상 원형 모양으로 백색의 꽃이 핀다. 섬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기 때문에 내음성, 내한성, 내조성이 강하며 토심이 깊고 습하며 부식질이 풍부한 곳에서 잘 자라며 약간 그늘진 곳이 좋다(KNA 2021).
Fig. 1. 18년 6월 울릉도에서 채집하여 보존하고 있던 바위수국
  바위수국은 등수국(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Siebold)과 달리 자생하는 분포가 한정적인 덩굴성 식물로 잎과 꽃에 대한 관상적인 가치가 있으나 번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삽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자생지인 울릉도에서 18년 6월에 채집 후 원예상토로 식재하여 수태를 이용하여 덩굴이 올라갈 수 있도록 수태를 이용하여 보존되고 있는 바위수국을 사용(Fig. 1)하여 20년 11월 30일에 삽목을 수행하였다. 삽목 시 눈(node)을 2개 포함하여 잘라 조제하여 질석과 녹소토를 1:1로 혼합하여 충진한 삽목판에 10개체씩 3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뿌리발근을 위한 호르몬 처리로는 루톤, Indole -3- Butyric Acid(IBA), Naphthalene Acetic Acid (NAA) 각각 단용으로 사용하였으며 IBA와 NAA를 4:1, 1:4, 1:1로 혼합하여 1시간동안 침지한 후 식재하여 25℃로 온도가 유지되는 파이토가든(Phytogarden)에 두어 생육을 관찰하였다. 한 달 후, 근장, 근수, 신초수, 엽수, 초장, 초폭, 엽장, 엽폭. 발근율, 신초발아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편, IBA와 NAA의 농도는 모두 1,000mg·L-1로 사용하였다.
Table 1. Effect of growth on the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근장(cm) 신초수 엽수 초장(cm) 초폭(cm) 엽장(cm) 엽폭(cm) 근수
control 3.1±0.4 0.6±0.2 2.7±0.4 1.2±0.1 2.5±0.2 1.3±0.1 1.2±0.1 4.9±1.0
루톤 3.3±0.4 0.9±0.3 2.7±0.3 0.9±0.2 2.0±0.4 1.5±0.2 1.0±0.2 7.1±1.4
IBA 3.5±0.3 0.4±0.2 1.9±0.1 0.9±0.1 1.5±0.2 1.3±0.1 1.2±0.1 6.2±1.6
NAA 3.6±0.3 0.2±0.1 1.7±0.2 0.7±0.0 1.2±0.1 0.8±0.1 0.8±0.1 10.5±1.8
N:I=1:4 2.6±0.3 0.5±0.2 2.8±0.4 0.6±0.1 0.8±0.1 0.5±0.1 0.6±0.1 8.3±1.3
N:I=4:1 3.5±0.4 0.4±0.2 3.1±0.3 0.9±0.0 2.1±0.0 1.3±0.0 1.1±0.0 8.2±1.6
N:I=1:1 3.8±0.4 1.0±0.0 1.5±0.0 0.7±0.0 0.8±0.1 0.6±0.0 0.6±0.0 13.4±3.0
발근율 결과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신초발아율의 경우 대조구가 46.7%±2.7를 나타냈지만 1:1혼용의 경우, 10.0%±4.7에 불과하였다(Fig. 2). 이런 결과들을 마탕으로, NAA는 IBA보다 뿌리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루톤의 경우, 뿌리의 영향이 가장 좋은 것은 아니었지만 신초발아율을 비교해보았을 때 53.3%±7.2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Fig. 2).
Fig. 2. 발근율, 신초발아율 막대그래프.
A: control, B: 루톤, C: IBA, D: NAA, E: N:i=1:4, F: N:I=4:1, G: N:I=1:1
   따라서, 바위수국을 증식할 경우, NAA와 IBA를 각각 단용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뿌리 생장에 더욱 효과적이나, 추후 생장을 위하여 신초발아율과 비교해보았을 때 루톤을 사용하여 삽목하여 증식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한편, 15℃에 두어 생육조사를 하였는데 삽목 후 3달 후 발근하였으며 발근율도 매우 저조함을 보여 추후 온도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MaDonald, M.B., Kwong, F.Y., 2005. Flower seeds (Biology and technology), CABI-publishing Intl., Cambridge, pp56

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accessed 23 March 2021).
식물자원연구과
박사연구원 박은혜, 오상임
석사후연구원 이상인, 박충화, 김정민, 김진호, 오혜진, 권혁환, 길 민, 박혜민
임업연구사 정재민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