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29
정원 만들기
숲정원의 유사개념들 :
   Forest Garden과 Woodland Garden
 
  ‘숲정원’이라는 용어는 모순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숲은 인위성과는 거리가 먼 자연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여겨지지만, 정원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기에 태생적으로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불가능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숲정원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국외의 숲정원 유사개념과 관련 있는 몇 가지 개념들을 논해보고자 한다. 숲정원을 영어로 직역한다면 대개 ‘forest garden’이라는 용어로 번역될 것이나, 이 용어는 영속농업(permaculture)분야에서 하나의 농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임업분야에서 ‘forest gardening’ 는 혼농임업(agroforestry)의 한 유형을 지칭한다. 한편, ‘forest garden’과 별개로 ‘숲정원’으로 번역될 수 있는 용어로 ‘woodland garden’도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정원의 한 양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영속농업분야에서 woodland garden을 forest garden의 동의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또 비영미권 국가에서는 woodland garden 양식의 정원을 forest garden 이라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각 용어별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영속농업 분야에서의 forest garden이라는 용어는 1980년대 영국의 원예가 로버트 하트(Robert Hart)에 의해 고안된 농법을 지칭한다. Food forest, 즉 먹거리숲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농법은 숲의 구조를 모방하여 작물을 재배할 시 식물 간 상호작용을 통해 제초와 시비 등에 드는 노력과 자재를 최소한으로 절감하여 생태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같은 공간에 여러 가지 다년생 식용식물들을 숲과 같은 다층의 구조로 혼식하는 것이 특징으로, 수관층(대교목층), 소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근계층(지중식물층), 지피층, 수직층(만경식물층)의 7가지 층위가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또 작물의 선정과 식재는 질소고정이나 화분매개체 유인, 병해충기피 등 각기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지닌 작물들이 상보적으로 기능하도록 묶인 조합인 ‘길드’를 단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농법은 각 층위별 작물들이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생태적 기능이나 작물 간 상호작용의 결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약점을 지니며, 또 그 생산성에 있어 절대적인 바이오매스의 생산은 일반적인 농지의 그것을 초과할지 모르나, 실제 열량을 제공하는 가식부위의 생산에 있어서는 매우 떨어진다는 한계를 지닌다. 한편 혼농임업 분야의 forest gardening 개념은 forest farming 의 한 세부 유형을 일컫는다. Forest farming은 입목 하부에서 버섯, 나물, 약초, 절지 및 절엽 등의 비목재 임산물을 생산하는 혼농임업의 한 유형이며, 관리의 집약도에 따라 다시 4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중 forest gardening은 파종 및 식재를 위한 간벌, 수관 전정 및 하층식생 제거에 더해 경운, 관수, 시비, 방제 등 관행적인 농법으로 작물을 관리하는 유형으로, 매우 집약적이기에 투입을 최대한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영속농업분야의 forest garden과는 배치되는 개념이다.
그림 1. Forest garden의 일례
출처 -https://permacultureproduce.com.au/creating-food-forest-garden/
그림 2. Forest gardening 유형의 커피 농장
출처 - https://www.pri.org/file/shade-grown-coffee-1jpg-0

  Woodland garden의 경우, 일반적으로 산림하층의 조건을 선호, 혹은 견딜 수 있는 관목 및 초본식물을 교목과 함께 다층구조로 식재하여 산림의 정취를 담아낸 wild garden의 한 유형을 지칭한다. 잔디밭이나 화단 등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정원의 양식보다 생태친화적으로 조성하기 용이하고, 또 수목이 주를 이루므로 식재 후 정착단계에 들어서면 대개 관리에 드는 비용이 통상적인 정원에 비해 적다는 특징을 지닌다. Woodland garden의 발상지는 영국으로, 19세기 중반 윌리엄 로빈슨(William Robinson)이 제창한 wild garden의 개념과 정원에서의 색, 질감, 형태의 활용에 있어 진일보를 이루어낸 거트루드 지킬(Gertrude Jekyll)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유행했었던 수목수집원의 하층에 내음성이 강하고 번식력이 뛰어나면서도 색상이 아름다운 설강화(Galanthus spp.), 블루벨(Hyacinthoides spp.), 유럽만병초 (Rhododendron ponticum), 칼미아(Kalmia latifolia) 등을 식재하기 시작한 것에서 기원하였다. Woodland garden은 그 양식의 등장 초기에 소유주가 장원에서 머무르는 봄철 동안 화려한 색상을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후 20세기 초 중국과 일본이 개항함에 따라 목련류(Magnolia spp.), 동백류(Camellia spp.), 만병초 및 철쭉류(Rhododendron spp.)를 비롯한 여러 화목류가 유럽에 도입되면서 산림조건을 선호하는 정원소재가 늘어나고, 중국, 일본, 히말라야 고지대 등의 정원이나 산림풍광을 묘사한 기행문들의 출판되면서 이의 영향을 받아 더욱 화려하게 조성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이 시기에 조성된 woodland garden 으로는 콘월의 Antony House, 웨일즈의 Bodnant Garden, 스코트랜드의 Dawyck Botanic Garden 등이 있다. 그러나 양차 대전을 거치면서 정원 디자인에 있어 화려한 색상에 대한 선호가 감소하였고, 또 20세기 후반에 들어 장원들의 공공정원화와 소규모 주택의 확산이라는 사회적 변화의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연중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또한 근래에는 자연주의 식재디자인의 영향을 받아 색에 비해 형태와 질감을 중시하고 식물의 생리 및 숲의 식생구조를 보다 충실히 반영하는 등의 방향으로 발달하는 중이다. 이러한 현대적인 디자인의 woodland garden 의 예시로는 델라웨어의 Mt. Cuba Center, 펜실베이니아 롱우드 가든의 Peirce’s Woods, 도카치의 천년의 숲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3. Bodnant Garden의 woodland garden.
  이 외에 숲정원 정의와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또 다른 개념으로는 일본의 삼림공원(森林公園)이 있다. 이는 일본의 혼다 세이로쿠가 창안한 개념으로, 뛰어난 풍광을 지닌 산림에 도시공원과 같이 이용자의 편의 및 유락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여 산림자원을 공원으로서 활용한 것이다. 부지는 공유지일 수도, 사유지일 수도 있으며, 지역적 고유성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공원의 기능을 지녀야 하나, 입업의 시행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그림 4. 일본의 태원삼림공원(台原森林公園)
출처 - http://blog.livedoor.jp/clinton1957/archives/52184832.html
  앞서 논한 개념들은 산림자원을 활용하거나 산림의 생태적 원리 및 구조를 응용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forest garden 및 forest gardening 의 개념은 식량이나 임산물의 생산 등 경제적인 생산성에 주안점을 두는 경농법인 반면, woodland garden 의 개념은 심미성에 초점을 두는 정원 디자인의 한 양식이고, 삼림공원은 공공녹지의 한 유형이라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는 개념들이다. 숲정원 역시 산림의 구조와 생태적 특징에 기반을 두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이들과 공통점을 지니나, 생산성보다는 심미성에 초점을 두되 환경서비스 및 공공복지적인 기능성이 강조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그 어느 개념과도 동의어라 보기는 힘들 것이다. 이러한 연관 개념들의 논의가 숲정원의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글을 맺는다.
정원연구센터
석사급연구원 이문규     임업연구사 송수정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