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구와꼬리풀(Veronica pyrethrina Nakai)은 여러해살이풀이며, 경북 산기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줄기는 높이 30 – 50cm이고 줄기에 퍼진 털이 있으며 전체에 연한 백색의 털이 밀생합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한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둥글며 톱니가 약간 있거나 결각이 나타납니다. 길이는 3 – 5cm, 폭은 1 – 2cm로서 양면에 연한 털이 다소 밀생합니다. 꽃은 8월에 개화하고 정생하는 총상꽃차례는 길이 8~10cm로서 꼬부라진 털이 다소 밀생하고 꽃이 밀착하며 작은 포는 선형입니다. 길이는 2mm로서 꽃자루 및 꽃받침열편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자루가 보다 긴 것도 있습니다. 꽃부리는 길이 3-4mm로서 벽자색이고 수술은 2개로서 밖으로 나오며 암술대에 복모가 다소 있습니다. 열매는 삭과로 납작한 도란상 원형이고 끝이 파지며 5mm의 암술대가 달려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큰구와꼬리풀 사진 (출처: 국가표준식물목록)
한여름에 연보라색으로 피는 꽃은 관상 가치가 높아 정원 소재나 절화 및 분화 등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에서는 큰구와꼬리풀을 관상식물로 개발하기 위한 번식 방법으로써 플러그트레이의 셀 크기가 육묘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① 플러그트레이 육묘 재배
1990년대부터 도입된 플러그트레이는 노동력 절감과 묘를 균일하게 자라게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러그트레이의 셀크기에 따른 생육조사를 위해 72구, 128구, 200구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하여 주 1회 저면관수를 하였고 6주 후 초장, 초폭, 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최적양자수율을 측정하였습니다. 그 결과, 72구에서 초장 2.2cm, 초폭 5.5cm, 최대 뿌리길이 9.1cm로 나타났습니다. 생체중은 지상부 193mg, 지하부 23mg이 나타났으며, 건물중은 지상부 21mg, 지하부는 3mg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28구에서는 초장 1.8cm, 초폭 4.8cm, 최대 뿌리길이 7.1cm로 생육이 가장 좋지 않았습니다. 생체중과 건물중 또한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200구는 초장 2.1cm, 초폭 5.8cm, 최대 뿌리길이 10cm로 나타났습니다. 생체중은 지상부 234mg, 지하부 37mg이 나타났으며, 건물중은 지상부 24mg, 지하부는 5mg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본 실험의 결과를 보았을 때, 큰구와꼬리풀의 셀 크기별 육묘는 128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지 않게 나타났으며, 72구 트레이와 200구 트레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대량 증식을 하기 위해서는 72구 트레이 보다 200구 트레이에서 육묘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실험은 큰구와꼬리풀의 관상식물로써의 개발을 위하여 육묘 재배 및 번식 체계를 확립하고 소비자가 플러그트레이 육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9731
식물자원연구과
석사후연구원 권혁환, 오혜진, 이상인, 박지은, 박혜민, 박충화, 김정민, 김지원
임업연구관 김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