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원&정원
위기종인 정향풀과 화분매개곤충 그리고 환경!!
정향풀의 꽃에 방문한 호박벌
국립수목원 전시원에 보존하고 있는 위기종 정향풀에는 어떤 화분매개곤충이 방문할까요?
그리고 이 화분매개곤충들이 환경요인에는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같이 알아보시죠.
어느덧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성큼 옆으로 다가왔습니다.
겨울 동안 웅크리고 있던 식물들은 앞다투어 잎과 꽃을 피우며 그리웠던 우리들의 마음을 달래기라도 하듯 반가운 모습으로 인사를 건네옵니다.
정향풀도 5월이면 신비로운 파란색의 꽃을 피우는데요.
국립수목원 전시원인 ‘희귀·특산식물보존원’, ‘식물진화속을걷는정원’, ‘키작은나무언덕’ 에 군락으로 식재되어있어 손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라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정향풀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기준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있고,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귀한 식물 중 하나입니다.
키 작은 나무 언덕에 식재된 정향풀 군락
귀한 식물인 정향풀에 찾아오는 곤충을 2022년 5월 16일부터 5월 25일까지 관찰해 보았는데요.
총 5목 22과 45종 225개체의 화분매개곤충이 확인되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곤충의 종류는 파리목(48%)이고 다음으로 벌목(39%), 나비목(11%), 기타(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찰된 곤충 중에서는 호리꽃등에(86개체)와 일본애수염줄벌(49개체)이 전체 개체수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이외에도 모시나비, 광채꽃벌류, 쟈바꽃등에, 긴알락꽃하늘소, 왕자팔랑나비, 긴꼬리제비나비, 호박벌 등 다양한 곤충이 관찰되었습니다.
호리꽃등에
Episyrphus balteatus
일본애수염줄벌
Eucera (Synhalonia) nipponensis
모시나비
Parnassius stubbendorfii
긴알락꽃하늘소
Leptura annularis annularis
긴꼬리제비나비
Papilio macilentus
호박벌
Bombus (Bombus) ignitus
정향풀을 방문한 화분매개곤충
(사진 제공 :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우성원)
정향풀에 가장 많이 방문했던 화분매개곤충(호리꽃등에, 일본애수염줄벌)의 출현 개체수와 환경요인(온도, 습도, 조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호리꽃등에의 출현 개체수는 습도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조도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습니다.
반면 온도와는 일정한 변화 양상을 보이진 않았습니다.
일본애수염줄벌의 경우 출현 개체수는 조도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온·습도와는 일정한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림 1. 정향풀에 방문한 화분매개곤충(호리꽃등에, 일본애수염줄벌)의 출현 개체수와 환경요인(습도, 조도)의 변화 비교
이처럼 화분매개곤충의 방문 빈도나 종 다양성은 식물의 크기, 밀도, 꽃의 색, 꽃의 구조, 서식 환경 등 다양한 변수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앞으로도 식물, 화분매개곤충, 환경요인 등 자연의 생태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꾸준히 연구하는 등 국립수목원에서 풀어야 할 숙제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참고문헌
■ Hella S., Catrin W., Yann C., Zoltan L., Martin L. and Teja T. 2015. Plant Size as Determinant of Species Richness of Herbivores, Natural Enemies and Pollinators across 21 Brassicaceae Species. Plos One 10(8): 1-18.
■ Stein Joar Hegland, Ørjan Totland. 2005.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floral traits and pollinator visitation in a temperate grassland. Oecologia 145: 586-594.
■ Tim Diekötter, Kyle J. Haynes, Doug Mazeffa and Thomas O. Crist. 2007.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habitat area and matrix composition on species interactions among flower-visiting insects. Oikos, Vol.116, No.9, pp.1588-1598.
글쓴이
전시교육연구과
전문연구원 이수호, 심지연, 최유림
임업연구사 김영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