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물종
자낭균류 버섯이야기
1. ‘콩나물버섯속(Geoglossum) 버섯’을 아시나요?
버섯 중에서 혀모양을 닮은 자낭균류 버섯이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찾기 어려운
버섯으로, 형태가 사람의 혀 모양과 닮아 ‘땅의 혀(Earth Tongues)’라고 불립니다.
이 ‘땅의 혀’ 버섯 중에서 콩나물버섯속(Geoglossum)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자낭균류 버섯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표고, 송이와 같은 담자균류의 버섯이 가진 갓, 주름 등의 모습을 찾기 어렵습니다.
대신 자낭균류 버섯들은 긴 주머니 모양의 자낭에 포자가 들어가 있는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이런 자낭들이 버섯 자실체 표면에 자낭각이나 자낭반이라는 구조에 많이 분포해서 나중에 주변으로 포자를 퍼뜨립니다.
자낭균류 버섯에서 가장 유명한 버섯으로 서양 3대 진미로 알려진 트러플(서양송로라고도 불리며, 국명은 ‘덩이속(Tuber)’ 버섯들을 가르킴)이 있습니다.
자낭균류 버섯 중에서 ‘땅의 혀(Earth Tongues)’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종류가 있습니다.
이들의 모습이 혀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콩나물버섯속(Geoglossum), 마귀숟갈버섯속(Trichoglossum), 좀콩나물버섯속(Microglossum), 넓적콩나물버섯속(Spathularia),
두건버섯속(Leotia), 투구버섯속(Cudonia), 등불버섯속(Mitrula) 등이 속합니다. 이 중에서 콩나물버섯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버섯 자실체 표면이 검기 때문에 ‘dark earth tongues’ 또는 ‘black earth tongues’로 불리는 콩나물버섯과(Geoglossaceae) 버섯은
형태적으로 비슷한 다른 속의 종들이 많이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두건버섯강(Letiomycetes; 상당수 종이 심각한 식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 속할 것으로 여겨졌지만,
Schoch et al. (2009) 분자계통학적 연구로 상위 분류체계인 콩나물버섯강(Geoglossomycetes), 콩나물버섯목(Geoglossales)이 새롭게 정립되었습니다.
이후 여러 분류학자들의 후속 연구들로 콩나물버섯과에는 현재 8개 속(Geoglossum, Glutinoglossum, Hemileucoglossum,
Leucoglossum, Nothomitra, Sabuloglossum, Sarcoleotia Trichoglossum)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 콩나물버섯속은 Christian Hendrik Persoon이 1794년에 처음으로 기록하였고, 현재는 28종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녹두콩나물버섯(G. fallax)과 민콩나물버섯(G. glabrum)이 기록되어 있지만 증거표본이 없고,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최신의 분류방법(DNA+형태관찰)으로 재검증이 필요합니다.
콩나물버섯속 버섯은 여러 다양한 식물(특히 초본류) 및 이끼들과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뚜렷한 연관성을 찾지 못했습니다.
다만, 흥미롭게도 콩나물버섯과에 속하는 여러 속들 중에서 콩나물버섯속만이 환경 ITS 데이터(*ITS 영역: 분자계통학적 균류연구에 쓰이는 DNA영역으로,
일종의 사람의 지문 같은 역할을 함) 분석에서 외생균근으로 추정되는 그룹과 한그룹을 이루었습니다(Wang et al. 2011).
따라서 콩나물버섯속 버섯은 외생균근성 버섯으로 식물 또는 이끼와 공생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명확한 후속 연구가 없어 일반적으로는 부생성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서식처는 유기물이 많은 곳의 토양, 이끼, 드물게 썩은 나무 등에서 발생합니다(사진 1).
크기가 4~8cm 정도이면서, 자실체가 발생하고 수일 내로 사라지기에 발견하기가 매우 어려운 버섯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자낭균류 버섯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합니다.
찾기고 어렵고 동정하는데 뚜렷한 특징이 없어 구별하기도 만만치 않은 버섯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들도 우리 산림에 중요한 유전자원이고 구성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에서는 올해부터 자낭균류에 속하는 버섯에 대한 수집과 분류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이들에 대한 표본과 정보가 적어 연구에 어려움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연구하는데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자낭균류 버섯과 관련된 이야기를 찾아서 소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사진 1. 다양한 이끼, 초본식물, 유기물이 있는 곳에서 발생하는 콩나물버섯속 버섯들
참고문헌
- Schoch CL, Sung G-H, López-Giráldez F, Rownsend JP, Miadlikowska J, et al. 2009. The Ascomycota Tree of Life: A phylum wide phylogeny clarifies the origin and evolution of fundamental reproductive and ecological traits. Syst Biol 58:224-39.
- Wang Z, Nilsson RH, Lopex-Giraldez F, Zhuang W, Dai Y. 2011. Tasting soil fungal diversity with earth tongues: Phylogenetic test of SATé alignments for environmental ITS data. PLoS One 6:e19039.
글쓴이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임업연구사 김창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