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물종
지의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지의류에 대해서 궁금했던 것들은 무엇이었나요?
지의류 자체의 질문부터 인간과 공존하는 지의류에 대한 질문까지 그동안 다양한 강의에서 받아온 질문들을 풀어내봅니다.
안녕하세요. 24년에 지의류에 관한 이야기들은 과거(승정원일기에서 지의류 찾기)와 현재(풍혈지 지의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았습니다.
올해 마지막 회차로 지금까지 지의류 강의와 연구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많이 받아왔던 질문들을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합니다!
지의류에 질문들은 지의류라는 생물체 이름을 처음 들어봤기 때문에 지의류가 어떻게 생겼고 이끼와 무엇이 다른지,
지의류는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1. 지의류가 이끼인가요?

아닙니다! 이끼는 선태류로 식물이고 지의류는 균류(=곰팡이)와 조류로 이루어진 공생생물입니다.
지의류의 몸을 이루는 것은 98%가 균류중에 자낭균류이고 나머지는 조류(주로 녹조류)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끼는 식물,
지의류는 균류로 완전히 다른 생물입니다(그림 1).
그림 1. 이끼와 지의류의 형태적 차이 (가; 이끼 (선태류) 나; 지의류 (Phaeophyscia exornatula))
2. 조류가 뭐죠? 새를 말할 때 그 조류인가요?

아닙니다. 새 조(鳥)와는 다릅니다.
조(藻)류는 algae라고 부르고, 우리가 아는 흔한 것 중에 김에 있는 홍조류가 있습니다.
조류는 독립영양생물로 물이나 나무나 돌에도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생물입니다.
지의류와 함께 사는 조류는 크게 초록색을 띠는 녹조류와 짙은 파랑을 띄는 시아노박테리아로 나뉠 수 있습니다(예전 남조류).
자체적으로 광합성을 할 수 있고 균에게 영양분을 줍니다 (그림 2).
그림 2. 지의류에 있는 조류들 (가; 녹조류 (Trebouxia sp.) 나; 시아노박테리아 (Nostoc sp.) 다. 시아노박테리아 (Stigonema sp.))
3. 지의류는 어떻게 번식하나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의류의 몸체는 98%가 균(자낭균)으로 이루어져 있고 포자 번식을 합니다.
그리고 후에 조류를 만나서 지의류가 됩니다.
두 번째는 이미 지의류화(균류+조류)된 형태가 비, 바람 등으로 퍼지고 다른 나무나 돌에 붙어서 바로 지의류가 되는 방법으로 번식합니다.
4. 나무에 지의류가 있으면 나무가 죽지 않나요?

아닙니다. 지의류는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서 생장하는 데 조류가 광합성을 통해서 영양분을 만들어 균류에게 주고 지의류가 크기를 유지하고 커갈 수 있도록 합니다.
지의류는 나무의 수피에 그냥 붙어서 자라기만 할 뿐 나무의 영양분을 빨아들이거나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단지 광합성을 하는 잎이나 어린 줄기들을 막아버린다면 그건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5. 지의류는 공생생물이라고 하는 데 서로 어떻게 도움을 주나요?

서로에게 이익을 주는 관계를 상리공생이라고 합니다. 지의류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조류는 균류에게 광합성 과정에서 얻어진 탄수화물을 전달하여 영양분을 제공하고 균류는 조류가 살 수 있는 집이 되어 줍니다.
조류는 독립적으로도 살 수 있지만 지의류가 되어 균과 함께 사는 조류의 생존율이 높았다는 것은 우주 실험에서 알 수 있습니다.
화성우주계획의 일환으로 우주에 지의류를 보냈을 때 지의류 맨 위층을 벗겨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하였는데
1 mm도 안되는 피층(cortex)을 벗겨낸 지의류는 살지 못했지만 그렇지 않은 지의류는 살아서 지구로 돌아왔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지의류 안에서 균과 조류가 서로가 도움을 주면서 살고 있다는 증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림 3).
그림 3. 지의류의 단면도. 피층 바로 아래 조류층이 있음. 피층이 제거되면 조류층이 태양빛에 바로 영향을 받음.
6. 스칸디아모스가 지의류라고 했는데 지의류가 균이라면 집에서 키우면 곰팡이가 날리지 않나요?

스칸디아모스는 상품명이고 실제로는 Cladonia stellaris라는 지의류입니다.
일반적으로 곰팡이의 균사나 번식체인 포자가 날리게 되면 호흡기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요.
이 지의류는 포자를 대량 생산하여 번식하는 것보다는 지의체 자체가 떨어져 나가 번식하는 곰팡이이며,
곰팡이 균사가 보호막 같은 피층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집에서 키워도 괜찮을 듯합니다.
7. 지의류가 대기오염 지표종이라고 했는데, 지의류가 있으면 공기가 깨끗한 건가요?

지의류가 많다고 꼭 공기가 깨끗하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인간이 흔히 말하는 대기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배기가스)이나 황산화물(공장매연)입니다.
이들 대기오염 물질을 이용하여 살아가는 지의류도 있기 때문입니다.
2~3종의 지의류가 다량으로 번식한다면 이러한 경우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다양한 종의 지의류가 조화롭게 많이 번식하고 있다면 공기가 깨끗한 곳이라고 생각하셔도 될 듯합니다.
8. 지의류를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지의류를 보려면 밝은 곳으로 가야 합니다. 지의류는 조류가 있어서 광합성을 합니다.
물론 조금 어두운 곳에도 지의류가 있지만 대부분의 지의류는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얻어야 해서 밝은 곳에 가야 지의류를 볼 수 있습니다.
지의류를 보기 위한 탐험은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빛이 잘 들어오기 때문에 등산로를 따라 올라만 가도 많은 지의류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1) 지의류는 왜 필요한가요? 숲의 시작을 하는 생물군이라서 돌을 부수어 흙을 만들어 그 위에 생물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지의류는 먹을 수 있나요? 이웃나라인 중국에서는 식당에서 주문할 수 있는 지의류종이 몇 종되고, 녹차처럼 차로 음용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이와 송라가 있습니다. 기근이나 전쟁 때에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3) 이끼랑 지의류 구분방법은 무엇인가요? 너무 진한 초록색이면 이끼고 회색빛 나는 녹색이면 지의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 물을 부어서 손톱으로 긁어 보아 녹색이 보이면 지의류입니다.

(4) 지의류가 미이라에 들어간다는데 이것이 지금도 살아 있을까요? 네???
습기를 흡수하기 위해서 넣은 건데 아마도 지금은 죽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라는 질문들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받아왔던 지의류에 관한 질문들을 짧게나마 적어보았습니다.
지의류의 정의만 설명해도 표정이 안 좋아지는 분도 많이 봤고 이해가 안 된다는 분도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 막상 지의류를 밖에서 보여주면 아! 이거요! 하는 분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글로만 배운 지의류보다는 실제로 보는 지의류가 더 좋습니다.
나태주 시인의 ‘풀꽃’이라는 시처럼 지의류는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생물입니다.
지의류에 대해서 궁금하시거나 알고 싶으신 분들이 혹 계신다면 저희에게 물어봐 주세요.
또 만나 뵙길 바랍니다.
글쓴이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전문연구원 박정신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임업연구사 오순옥
(우)1118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대표전화 031-540-2000
COPYRIGHT ⓒ 국립수목원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