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 작성일2011-02-11
  • 작성자 / 이**
  • 조회4313
  • 음성듣기
    음성듣기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1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2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3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4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5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 이미지6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은 2008년부터 진행 중인 「울릉도식물
종 다양성 및 생태계 보존」연구의 일환으로 울릉도 자생식물을 조사한 결과, 2010년
현재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 28종, 희귀식물 50종, 울릉도 미기록식물 12종 등을 포함하여
464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증거표본 1,510점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 울릉도 자생식물 2010년 현재 464종으로
귀화식물 63종은 제외
이번 조사로 확보된 증거표본은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확인해줄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이며, 울릉도 자생식물의 종 다양성 보전뿐만 아니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울릉도에 새롭게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구상난풀,
복주머니난, 참오굴잎버들, 선버들, 방울새란, 청닭의난초, 넓은잎물억새, 꼬마은난초,
사스레피나무, 때죽나무, 붉가시나무, 큰나도잠자리난 등 12종의 서식지가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는 선모시대, 섬꼬리풀, 섬광대수염, 울릉장구체, 추산쑥부쟁이
등 28종, 희귀식물은 실사리, 난장이이끼, 분홍바늘꽃, 초종용, 나도생강, 꼬마은난초
등 50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기록식물(구상난풀)


미기록식물(꼬마은난초)












특산식물(섬국수나무)


특산식물(섬노루귀)












희귀식물(난장이이끼)


희귀식물(실사리)



울릉도 자생식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조 의종(毅宗) 13년
심찰사(審察使) 김유립(金柔立)이 고본(?本)과 석남초(石南草)가 자생하고 있다고
복명서(1159년)에 보고한 이래, 오늘날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전 식물종에 대한
확실한 증거표본 없이 울릉도 식물 목록중심으로 발표된 바 있다.
※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 산형과),
석남초(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 T. Nakai(1919년) 372종, 양인석(1956)
562종, 오수영(1978년) 707종, 이우철middot;양인석(1981) 707종, 신현탁middot;김용식(2002)
-627종 등
국립수목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울릉도 자생식물
목록집」을 발간할 예정이며,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울릉도의 식물종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희귀 및 특산식물의 보전 전략 수립 및 현지 내middot;외
보존 및 복원사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첨부파일
  • 울릉도 자생식물의 실체를 밝히다..hwp [3.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실사리(울릉도(090622).JPG [1.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구상난풀 (910).JPG [146.4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나도생강 (8).JPG [1.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난장이이끼-나리분지0909 (5).JPG [1.7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섬국수나무-남양.JPG [898.8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2섬노루귀.jpg [1.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