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패러다임 전환
패러다임 전환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패러다임 전환
영문명 paradigm shift
한자명 -
용어설명 패러다임은 토마스 쿤(Thomas S. Kuhn)의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에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특성을 언급할 때 사용된 용어이다. 정상과학은 당시 사회에서 통용되는 규칙, 이론 등의 기본개념과 표준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여러 유형 문제를 새로운 연구자들이 해결하도록 남겨 놓는 융통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에 연유된 패러다임의 개념이 요즈음에는 어떤 분야에 대한 사회의 공통된 가치이고 믿음이며 지혜로 해석되고 있다. 즉 어떤 문제에 대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동의하고 기대고 싶은 모델 또는 가치관을 패러다임이라 한다. 패러다임의 전환은 정상과학이 새로운 개념에 의하여 도전을 받듯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여건에 새로운 가치관이 적응할 때 발생한다. 환경관리분야에서도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작되고 있다. 지금까지 현 사회를 주도하여 왔던 성장우선 패러다임(Dominant Social Paradigm)이 20세기 후반기를 기점으로 생태우선 패러다임(New Ecological Paradigm)으로 전환되고 있다. 경제적 효율성보다 환경보전을, 인간중심에서 생태우선 사고로, 자연에 대한 인간우월 사상에서 자연본래의 가치인정으로,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오염의 불가피함을 인정하는 사고에서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고로, 전문가에 의한 계획 및 정책 수립에서 주민참여의 적극적 유도의 필요성 인정 등으로의 변화가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이다. 두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인간을 자연과 분리된 것으로 보느냐, 자연의 일부분으로 보느냐의 관점에 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