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아까시꿀 생산감소, 백합나무꿀로 해결한다
  • 작성일2012-06-01
  • 작성자대변인 / 장병영 / 042-481-4078
  • 조회3431
  • 음성듣기
    음성듣기
아까시꿀 생산감소, 백합나무꿀로 해결한다 이미지1

산림과학원, 아까시 대안으로 백합나무 추천…오래 피고 품질도 좋아

백합나무가 아까시나무의 벌꿀 생산량 감소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구길본)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든 아까시나무의 대체수종으로 백합나무를 추천했다. 백합나무는 개화기간이 아까시나무보다 두배나 길고 더 다양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데다 꿀의 품질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아까시나무의 연간 벌꿀생산량은 2300톤으로 국내 전체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하지만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중부지역의 아까시나무 꽃이 근래들어 평년보다 10∼15일 빠르게 피는 바람에 전국적인 동시 개화가 발생하고 있다. 그 결과로 벌꿀 채취기간이 1/3∼1/2 정도로 줄어 양봉농가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것.

이에 비해 백합나무꽃 한 송이의 개화기간은 7∼12일로 아까시나무와 비슷하지만 백합나무 한 그루의 총 개화기간은 20∼30일로 7∼14일인 아까시나무보다 2배 길다. 백합나무에서 채취한 꿀은 다른 꿀보다 말토스(Maltose)와 미네랄 함량이 풍부하고 항산화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아까시나무 꿀보다 백합나무 꿀이 더 인기가 높다. 또 백합나무는 아까시나무보다 다양한 토양에서 생육할 수 있고 수명도 200∼300년에 달해 70∼80년인 아까시나무보다 3배나 길다. 병충해에 강해 한 번 조성해 놓으면 밀원자원으로 오래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게다가 백합나무는 재질이 우수해 목재자원으로서의 가치가 크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산림청은 백합나무를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산림바이오순환림의 주 수종으로 심기로 하고 2020년까지 전국 6만ha를 조림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해외산림수종 연구팀 유근옥 박사는 "아까시나무의 벌꿀채취가 힘들어지고 있는 현 상황의 대비책으로 백합나무가 가장 적당하다"며 "별도의 밀원수종을 찾지 않더라도 산림바이오순환림으로 조성된 백합나무를 이용한다면 양봉농가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의 :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유근옥 연구관(031-290-1109)

첨부파일
  • 114.JPG [1.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