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광릉숲
  • 작성일2005-03-21
  • 작성자 / 김**
  • 조회2403
  • 음성듣기
    음성듣기

''지구의 녹색 점'', ''우리 숲의 자존심''. 산림학자들이 자신있게 광릉숲에 붙여준 별명이다. 그럴 만하게도 광릉숲은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천연상태로 보존된 온대 낙엽활엽수림이다.2200㏊ 숲이 왕실의 권위 덕분에 500년 이상 사람의 손때를 면할 수 있었다. 숲의 세대교체 모습을 파노라마처럼 보여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천연상태의 숲엔 처음 햇볕을 좋아하는 나무들이 자라고, 수백년이 흐르면 그늘 아래서도 자랄 수 있는 나무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한다. 양수(陽樹)와 음수(陰樹)가 제자리를 잡아 안정된 숲을 극상림(極相林)이라고 부르는데, 광릉숲은 극상림 상태로 변해가는 숲의 모습을 멋지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광릉숲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종의 보존 기능이다.1999년 시험림 등으로 관리돼 오던 절반 정도의 면적이 국립수목원으로 거듭나면서 식물유전자 보존기능이 강화됐다. 광릉요강꽃, 광릉물푸레 등 14종의 특산식물을 포함해 모두 3344종류의 식물이 보존돼 생명공학시대 자원전쟁에도 대비한다. 국립수목원 측이 10층 건물 높이의 대규모 유리온실을 새로 짓기로 한 것도 식물자원 보존middot;증식과 관계가 있다.
그러나 특별한 자연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이곳에 대규모 인공 조형물이 들어서는 데 대해 환경보호단체들의 반대가 거세다. 온실을 짓느라 숲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민물도요새, 딱따구리 등 희귀 조류들이 유리에 부딪쳐 피해를 입는 등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긴, 썩어서 쓰러진 고사목 줄기 하나도 생태계 그물에서는 없어선 안 될 존재다. 나무줄기 속에 사는 딱정벌레 유충이 희귀 조류의 먹이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따져 보면 유리 온실로 인한 조류 등의 피해는 크낙새 등 각종 희귀동식물로 가득찬 광릉숲 생태계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생물종다양성 보호와 자원확보를 위해 아열대, 열대식물 보존활동을 외면할 수도 없는 일이다. 광릉숲의 자연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자원확보도 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을 찾는 것이 좋겠다. 시민단체들은 국립수목원 외곽이나 서울의 산림과학원 쪽 등을 제안하지만 아예 남부지역에 제2국립수목원을 조성하는 것은 어떨까. 한반도 남단 자생식물 보존도 겸하면서 말이다.
nbsp;
nbsp;nbsp;nbsp; < 서울신문/신연숙 수석논설위원 yshin@seoul.co.kr >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