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답변 :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명에 대해의견 남깁니다
  • 작성일2018-02-06
  • 작성자 유용식물증식센터 / 이승연
  • 조회394
안녕하십니까?
먼저, 산림행정에 관심을 기울여 주심에 감사를 드리며
제기하신 민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을 드립니다.

문의하신
Xanthoceras sorbifolium Bunge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 기름밤나무
Chamelaucium uncinatum Schauer 카멜라우키움 웅시나툼 --> 왁스플라워
두 종에 대한 보통명(국명) 변경에 대한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명 변경을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다만 국명 변경을 위해서는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위원회'를 개최하여 안건으로 논의한 후에 반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몇 가지 부가 설명을 드리자면,
외국에서 도입되어 생산, 판매되는 식물의 국명을 지정할때는 몇 가지 기준을 고려하게 됩니다. 물론 이 기준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전문가들의 의견과 유통시장 상황을 폭넓게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1. 이미 널리 유통되고 있는 식물은 되도록 유통명을 국명으로 반영 고려
2. 기준명 활용: Pullsatila ABC(종소명) 의 경우, 이미 ',,,,할미꽃'이라는 보통명이 있기 때문에 '할미꽃'을 기준명으로 사용
    --> 도입식물 : 종소명의 이름 또는 종소명 의미를 살려서 'ABC 할미꽃' 이라 지칭 고려
3. USDA GRIN(미농무성) 의 식물명 자료를 참고 : 국내 도입되는 식물들의 상당수는 일본명을 국명화하여 도입되는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특히 일본에서 보통명을 지칭할 때, 영어 자료를 많이 참고하는데, 이러한 보통명에 대한 자료가 미농무성 홈페이지 자료에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들도 참고하여 국명을 추천하게 됩니다.
* 홈페이지 :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browse.aspx
4. 신규 도입식물 : 국내 도입된 지 얼마 안되었거나 보통명이 일반화되지 않은 것들은 되도록 속명, 종소명을 라틴어발음대로 국명화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사실 이 방법이 유통시장의 식물명에 대한 혼란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5. Chamelaucium uncinatum Schauer : '왁스플라워' 로 한다면,,,이와 유사한 Chamelaucium 속 식물이 도입되었을 때,,과연 국명을 어떻게 지칭할 것인지 ? 왜냐하면 시장에서는 유사한 식물,,,즉 다른 종소명을 갖는 식물을 왁스플라워로 통칭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이런 경우,,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명을 추천합니다.
아무조록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시 한 번 국립수목원에 기울여주신 애정과 충고에 감사드리며,
관람객의 입장에서 노력하는 수목원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전시교육과(담당 이승연, 전화 031-540-2312, 이메일 mrbig99@korea.kr)로 연락 주십시오.
‘찾아가는 산림청’, ‘도와주는 산림청’, ‘정다운 산림청’, ‘고마운 산림청’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