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올해 남부와 북부지역 간 아까시나무 개화시기 차이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어 아까시 벌꿀 생산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nbsp; ○ 국립산림과학원의 아까시나무 개화 모니터링 결과 봄철 기온이 전국적으로 높아지면서 남부지역의 개화시기가 예년보다 이틀 정도, 중북부 지역은 일주일 정도 빨라져 5월 상순∼중순경 만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남부와 북부지역 간의 개화시기 차이가 평년(30일)의 절반 수준인 약 10∼15일로 감소한 것이다.
□ 이처럼 개화시기 차이가 짧아진 탓에 채밀(採蜜) 가능 기간이 약 7∼10일로 줄어듦에 따라, 작년에 이어 올해도 벌꿀 생산량이 30%∼50% 이상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nbsp; ○ 더불어 올해 아까시나무 화밀(꽃꿀)은 꽃 한 송이에서 평균 26마이크로리터(μl)가 분비되었는데, 2009년에 평균 44μl가 분비된 점을 고려하면 약 40% 정도 감소된 것이다. 우리나라 벌꿀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꿀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 아까시나무의 개화는 3∼4월의 기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nbsp; ○ 올해 전국의 아까시나무 개화가 빠른 것은 3∼4월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서울의 평균기온이 7.0℃로 작년(6.3℃)에 비해 높았으며, 4월의 평균기온도 14.1℃로 작년보다 0.7℃ 높았다.
□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장경환 과장은 “온난화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봄철 개화시기 차이가 줄어드는 현상이 해마다 지속되고 있다”며 “앞으로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아까시나무를 선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표종(指標種) : 환경조건에 대해 극히 좁은 폭의 요구를 갖는 생물종으로, 그 지역의 환경조건이나 오염 정도를 알 수 있는 생물종. 이러한 생물들의 존재 여부를 통하여 그 지역의 환경조건을 알 수 있다.
□ 한편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김세현 과장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농가 소득 안정과 고품질 벌꿀 생산 등 양봉산업 활성화를 위해 고정식 양봉이 가능한 헛개나무, 백합나무, 쉬나무 등 대체 밀원수종 개발 및 보급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