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전략별 추진계획

전략별 추진계획
이 표는 추진전략별(한국형 산림자원순환경영으로 탄소중립 실현,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건강한 산림생태계 조성, 산림재난 대응력 고도화로 국가안보 확보, 미래형 산림산업으로 국가성장동력 창출, 임업인 경영 지원 및 소득 향상, 전국민·전생애 산림복지서비스로 국민 삶의 질 제고, 산촌부터 도시까지 숲속에서 사는 삶 실현, 국제산림협력으로글로벌 중추국가 도약, 첨단과학기술 기반 산림관리체계 혁신, 산림정책 이행력 강화)와 핵심과제에 대한 정보입니다.
추진전략 핵심과제
1. 한국형 산림자원순환 경영으로 탄소중립 실현 1. 스마트 임업으로 산림자원순환경영 활성화 [신설]
2. 국산목재 이용 촉진 [강화]
3. 한반도 산림탄소흡수원 보전 및 복원 [신설]
4. 산림경영기반 확충으로 산림경영 규모화 [강화]
2.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건강한 산림생태계 조성 [강화] 1. 산림생물다양성의 지속적 관리기반 구축 [유지·통합]
2. 산림생태계서비스 가치 증진 [신설]
3. 산림생태계 적응·회복력 강화 [신설]
3. 산림재난 대응력 고도화로 국가안보 확보 [강화] 1. 산림재난 통합관리체계 강화 [강화]
2. 과학적 산불예방 및 진화역량 강화 [강화]
3. 산림·지역 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대응력 고도화 [강화]
4. 선제적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강화]
4. 미래형 산림산업으로 국가성장동력 창출 1. 목재산업 육성 및 신성장산업으로의 도약 [강화]
2. 기업, 민간주도 산림분야 ESG 비즈니스 활성화 [신설]
3. 산림기반 융·복합 신산업 저변 확대 [강화]
4. 미래 산업을 주도할 산림일자리 육성 [강화]
5. 임업인 경영 지원 및 소득 향상 1. 안정적인 임업경영 지원 [강화]
2. 미래임업을 선도할 청년임업인, 산림기술자 육성 [신설]
3. 청정임산물 생산·유통구조 혁신 [유지·통합]
4. K-임산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강화]
6. 전국민·전생애 산림복지서비스로 국민 삶의 질 제고 1.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유지]
2. 고령화 사회 대비 보건·의료 연계 숲치유 활성화 [강화]
3. 숲길 확대 및 등산·산림레포츠 산업화 [강화]
4. 산림휴양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품질 개선 [강화]
5. 산림인식 제고를 위한 산림교육 확대 [유지]
7. 산촌부터 도시까지 숲속에서 사는 삶 실현 1. 산촌을 국가균형발전의 거점으로 대전환 [신설]
2.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숲 확충 [강화]
3. 생활 속 정원문화 정착 및 정원산업 육성 [신설]
4. 지역사회 기반 국유림 선도역할 증진 [강화]
5. 합리적 산지구분체계 마련 [강화]
8. 국제산림협력으로 글로벌 중추국가 도약 1. 산림을 대한민국 국제협력 대표사업화 [유지]
2. 국외산림탄소 배출 감축 확대 [강화]
3. 경제안보를 고려한 해외산림자원 개발 [유지]
4. 북한 산림복구 기반 마련 [유지]
5. 한국 산림녹화모델의 세계화 및 지원체계 강화 [신설]
9. 첨단과학기술 기반 산림관리체계 혁신 1. 산림공간 디지털플랫폼 구현 [신설]
2.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산림관리 [신설]
3. 빅데이터 기반 MRV 체계 고도화 [신설]
10. 산림정책 이행력 강화 1. 산림분야 갈등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유지]
2. 실사구시형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촉진 [강화]
3. 산림정책 홍보·모니터링 및 정책환류 강화 [강화]

제6차산림기본계획.pdf [21689779 byte]자료받기바로보기

제6차 산림기본계획(변경).pdf [4636987 byte]자료받기바로보기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3.8/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