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리차드생장함수
리차드생장함수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리차드생장함수
영문명 Richards growth equation
한자명 리차드生長函數
용어설명 리차드생장함수는 이전의 다른 학자에 의하여 보고된 식이지만 Richards(1959)에 의해 “실제 이용에 있어 융통성있는 생장곡선”으로 이름 붙여진 이후 일반에게 리차드생장함수로 알려진 식이다. 이 생장함수는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임목의 생장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용 범위가 넓어 가장 많은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다. 이 함수식은 로 표현되는데, 생장량(Y)이 시간(t)에 대한 곡선식으로 표현되며 3개의 모수 a, b, c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수 a는 최대도달량 또는 최대가능량으로 생장량이 주어진 환경조건하에서 도달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량을 말한다. 또한 b는 생장량, 생장률과 규제의 모수로 b가 커지면 급상승하는 곡선 모양이 된다. 보통 b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데, 모수 c와 결합하여 생장과정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즉, 는 생장곡선의 변곡점, 이를테면 연년생장량 최대의 임령에서의 생장률을 나타낸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