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9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산림생물연구
세계곤충학회 XXIV International Congress of Entomology 2012
2

12년 8월 19일(일)부터 8월 25일(토)까지 7일 동안,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엑스코(EXCO)에서는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양봉학회, 그리고 한국잠사학회 공동주관으로 제 24회 세계곤충학회(XXIV International Congress of Entomology 2012)가 개최되었다.

세계곤충학회, 1. 개회사가 열리던 정문,2. Opening ceremony 현장
이번 학회에는 “곤충학의 새로운 시대 (New Era in Entomology)” 라는 주제로 전 세계에서 약 3,000여명의 곤충학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참가하여, 현재 진행 중인 각 국의 연구동향과 미래 연구 등을 한 눈에 확인해 볼 수 있는 매우 뜻 깊은 기회이기도 하였다.
본 학회는 개회식, 총회의, 구두 발표, 포스터 발표, 분야별 전문가 토의, 전시, 특별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많은 참여자들이 학문적 교류를 할 수 있었다.
우리 국립수목원에서는 산림생물조사과 임엄연구사 이봉우 등이 “Newly recorded family Helilzelidae (Lepidoptera) from Korea (한국 미기록 과, Helilzelidae 보고)”, 인턴연구원 임종수 등이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Linnaemya Robineau-Desvoidy (Diptera, Tachinidae) in Korea (한국산 Linnaemya속 (파리목, 기생파리과)의 분류학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2건의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하였으며, 박사후연구원 임종옥 등은 “A molecular phylogeny of Bethylidae (Hymenoptera: Chrysidoidea)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미토콘드리아, 핵 유전자를 이용한 침벌과(벌목: 청벌상과)의 분류학적 계통연구)”라는 제목으로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들 앞에서 구두발표를 하였다.
세계곤충학회 3~4. 국립수목원 연구자들의  포스터와 구두 발표
우리 수목원 참가자들은 나비목, 딱정벌레목, 파리목, 벌목의 각 분류군별 전문 발표현장을 방문하여 최신 연구 동향과 우리가 더욱 매진하고 집중해야할 내용들을 적극 수렴하였으며, 다양한 산림곤충과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학 분야 연구 동향들을 파악하였다.
세계곤충학회
                5. 미국 USDA 소속 하늘소 분류 전문가인  Lingafelter 
                박사의 발표 현장(볼리비아의 하늘소류 소개 내용)
                6. 브라질 Monne 박사의 브라질
                국립공원의 하늘소상에 대한 발표 현장
또한, 각 세계 각 국에서 온 각 분류군별 전문가들과 많은 대화를 통해 우리 국립수목원에서의 곤충학 연구 등을 소개하였으며, 서로의 발전적인 관계 도모를 위하여 노력하기로 약속하였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