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수목원 즐겨찾기
식물 세밀화 제작 - 소중한 식물자원을 그림으로 남긴다 -
식

물세밀화는 식물체에 대하여 사진으로 나타낼 수 없는 부분이나 형태의 묘사를 가능케 하여 식물학적 측면에서의 정확한 표현은 물론 작가의 예술적 감각이 가미됨으로써 식물의 구별 뿐 아니라 아람다움을 더한층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예술작품이다. 식물세밀화는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하고 초보적인 단계로 최근 부분적인 책자 발간에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문적인 세밀화가의 수도 부족한 실정이이다. 식물세밀화는 수목원 및 표본관에서 확보되어야 하는 다양한 콜렉션 중의 하나로 영국의 큐가든, 미국의 뉴욕식물원 등을 비롯한 선진국의 식물원내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러한 분야가 활성화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수채물감을 이용한 식물세밀화가 어떻게 완성되는지 알아보자. .

수채물감을 이용한 전문제작과정
첫번째 단계 세밀화를 그릴 대상이 정해지면 도감 등의 자료에서 식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한 뒤, 식물의 서식지로 직접 찾아가 자연 상태의 식물을 관찰하며 형태 및 특징을 잡아 스케치한다.
첫번째 단계 이미지
두번째 단계 현장 스케치를 하면서 기록해야 할 식물의 부분 및 전체의 모습을 사진을 찍거나 자세한 그림, 설명으로 남긴다.
두번째 단계 이미지
세번째 단계 채집한 식물의 세밀한 부분은(암술이나 수술, 포자 등 부분) 확대경이나 현미경을 통해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한다. 현장 스케치된 밑그림에서 나타내지 못했던 세밀한 부분들과 특징을 보완하며 선을 정리한다.
세번째 단계 이미지
네번째 단계정리된 그림 위에 트래싱지를 얻고서 깨끗한 선으로 정확하게 옮겨낸 후, 수채화용지에 옮긴다. 옮겨진 그림은 얇고 가는 연필을 이용해서 다시 한번 다듬어 정리한다.
수채화용지에 그림을 옮기는 방법에는 트레이싱지를 이용하는 방법, 연필 트레이싱지(트레이싱지 뒷면에 무른심의 연필을 문질러 만든 것)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 라이트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섯번째 단계 수채화 종이 위에 옮겨진 드로잉에 기본색을 전체적으로 옅게 채색한다. 식물세밀화는 옅을 색을 수차례 칠하여 그 식물의 고유색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섯번째 단계 이미지
여섯번째 단계 세부 묘사를 한 후 완성!
여섯번째 단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