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이달의 발간도서
2 2014  이달의 발간도서
나혜현 /전시교육과석사후연구원
  • 산림교육전문가 양성·훈련을 위한 지침서 숲 해설 워크북
    • 국

      립수목원은 수목원 산림교육을 위해 전시·해설분야 전문가 양성과 훈련을 위한 기초교육교재 「숲해설 워크북」을 발간하였다. 본 도서는 「산림교육 전문가 양성·훈련과정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산림교육 해설의 기초 자료 수집 및 해외 협력연구 등의 학술교류를 통하여 최신 숲해설가 양성·훈련 커리큘럼과 해설기법을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숲해설 워크북은 다양한 산림서비스분야에서 산림체험 및 산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체험지도사, 그리고 산림치유지도사 등 다양한 인력들이 '해설이 어떻게 준비되고 계획되며, 실행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필요한 해설지식과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숲 해설 전문가 양성 · 훈련을 위한 숲 해설 워크북 표지 이미지

      제1장은 숲해설에 대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 공한다. 숲해설의 정의와 목적, 임무 및 혜택 등을 비롯하여 해설프로그램 준비 시 필수 고려사항과 해설가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와 함께 해설기법의 대표적인 유형인 해설가 동반 해설기법(인적해설)과 자기 안내 해설기법(비인적 해설)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해설가 동반 해설기법은 해설가가 현장에서 해설을 하거나 일정한 해설프로그램으로 상황을 진행하면서 방문객과 직접적으로 의사를 주고 받는 해설기법이다. 자기 안내 해설기법은 해설가 없이 진행 되는 안내기법으로 특별한 경관, 전문전시원 등에 대해 방문객 스스로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유형으로 해설표지판, 팜플렛, 소형책자, 자동안내해설기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법이다. 제2장은 숲해설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즉흥적 환경과 기획된 환경으로 구분하여 해설가가 어떻게 방문객 들과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즉흥적 해설이 이루어질 때 방문객과 어떻게 대화를 풀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이에 대한 사례와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획된 해설환경에서 청중을 사로잡는 방법과 해설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3장은 숲해설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서 짚고 넘어가야 할 내용을 다루었다. 해설프로그램이 실패하는 이유, 프로그램 개발동기, 그리고 해설프로그램 시연을 통해 틸든(Tilden)의 6가지 원칙이 잘 적용되었는지를 피드백(Feedback) 하는 방법 등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4장은 전시 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실제로 해설과 전시는 따로 떨어져 생각할 수 없는 관계이다. 구체적으로 전시의 개념과 의의, 전시계획의 개요와 연출사례, 전시 정보전달 등의 전시교육의 기본 지식과 정보, 사례를 개략적으로 소개하였다.
      본문내용 교육에 대한 소개등의 책 이미지
      이번에 발간한 「숲해설 워크북」은 산림교육분야 전문가들의 실질적인 훈련과 재교육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워크북의 형태로 편집되어 새로운 숲해설가 양성과 기존 숲해설가 훈련은 물론 나아가 산림교육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교재가 산림교육서비스현장에서 숲과 사람 간의 의사소통과 교감하는 과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동시에 자연자원과 산림역사·문화자원에 대한 해설을 하고자 하는 관련분야에 첫걸음을 내딛는 전문가들에게도 유익한 지침서로 산림교육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