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생생버섯정보
5 2014 생생버섯정보
한상국 / 산림생물조사과 임업연구사
  • 우리 숲에서 자라는 버섯 이야기 이달이 버섯 - 먹물버섯, 말징버섯
    • 버

      섯은 숲속의 일원으로 나무와 풀들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척박한 바위산에서 나무가 살아갈 수 있게 해주며, 매년 두껍게 쌓여가는 낙엽들을 썩혀 숲속의 식물들에게 거름을 제공한다. 또한 우리생활에서는 식품과 약으로, 최근에는 산업에 이용되는 등 그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국립수목원 웹진에서는 다양한 생태사진과 함께 우리 숲의 숨은 주인공인 버섯의 생생한 생태정보를 소개하고 있다. 이 달에 만나 볼 버섯은 먹물버섯과 말징버섯이다.

      먹물버섯
Coprinus comatus (O. F. Műll.) Pers.
식독여부 : 식용(어린 자실체만 식용)

발생시기 : 봄~가을

발생장소 : 정원, 목장, 잔디밭 등 비옥한 땅 위에 다발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형태적 특징            


갓의 크기는 직경 3~5cm, 높이 5~10cm이다. 어릴 때는 자루의 반 이상이 덮힌 원주형이고 후에 종형이 된다. 갓표면은 백색바탕에 담갈색의 거스러미상 인편이 덮여 있다. 주름살은 백색~담홍색~갈색~흑색으로 되고, 결국 검은 잉크같이 액화된다. 자루의 길이는 15~25cm이고, 속이 비고, 기부가 약간 굵으며 백색을 띤다. 자루의 부착형태는 중심생이고, 턱받이는 없다.
미세구조
포자의 색깔은 흑색이고, 크기는 13~18×7~8㎛이다. 포자의 모양은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다. 낭상체의 크기는 25~55×13~25㎛이고, 곤봉형~방추형이다.
Note : 길가, 정원 등 인가주변에 많이 나고, 술과 함께 먹으면 해가 있다.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Schwein.) Fr.
식독여부 : 식용(어린 자실체만 식용)

발생시기 : 여름~가을

발생장소 : 임내 유기물이 많은 땅위나 부식질이 많은 곳에 흩어져 나거나 무리지어 발생한다.

형태적 특징             


갓의 크기는 높이 6~10cm, 직경 5~8cm이고, 머리(頭部)는 구형~난형이다. 자루의 모양은 아래에 역 원뿔형의 무성기부(無性基部)가 있다. 기본체는 처음 백색에서 갈색으로 되고, 황갈색의 액즙을 내면서 분해, 악취를 낸다. 성숙하면 외피가 벗겨지고 황색의 포자괴(胞子塊)가 드러나며, 바람에 포자를 날린다. 마지막엔 팽이모양의 기부만 남는다.
미세구조            


포자의 색깔은 담갈색이고, 크기는 3~4㎛이다. 포자의 모양은 구형이고, 표면은 미세한 돌기가 있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