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7 국립수목원 웹진 복자기길 전경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이달의 나무와풀 곤충
7월에 만나는 나무와 풀 곤충
국

립수목원은 흰꽃이 멀리서도 눈에 띄는「고광나무」를 7월의 나무로, 우사계절 푸른 잎을 가진 「노루발」을 7월의 풀로 선정하였다. 또한 7월의 곤충으로는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대왕나비」를 선정하였다. 7월의 나무와 풀 곤충을 만나보자.

고광나무

봄 꽃이 대부분이 노란색과 분홍색이라면 여름 꽃은 유독 하얀색이 많다. 산딸나무, 물참대,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노린재나무 모두 하얀색 꽃을 피우는데, 초록색 한가운데서 곤충을 더 잘 불러 모으려는 식물의 노력이다. 그 중에서도 고광나무는 여름숲의 짙은 녹음 사이로 우리 눈높이에서 하얗게 빛나 듯 피어있는 꽃이 눈길을 붙잡는다. 멀리 보이는 하나의 빛을 의미하는 고광(孤光)이라는 이름이 걸 맞는 나무라 할 수 있겠다.
고광나무
고광나무는 아시아는 물론 북미 등 북반구에서 자라고 있는 낙엽활엽 키작은 나무다. 양지는 물론 음지에서도 잘 자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잎은 마주나고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암술대는 하나이지만 암술머리가 중간까지 깊게 4개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거의 한달 가까이 핀다.
고광나무는의 영어 이름은 'Mock-orange'로 꽃이 오렌지나 레몬꽃과 유사하고 향기가 좋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 1981년도 프랑스의 한 향수회사의 조사에서도 선호하는 향기 10가지 중 하나로 꼽힐 만큼 향긋하다. 따라서 꽃을 허브와 함께 섞어 향초를 만들거나 향수의 재료로 이용한다.
고광나무는 수형이 우거지고 꽃이 많이 피어 조경수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생울타리나 차폐용으로 좋다. 또 음지에서도 잘 자라 특성을 활용하여 큰 키나무 아래 심으면 조경수로써의 가치가 돋보인다.

노루발

겨울철 낙엽이 진 메마른 산길을 걷다보면 아직도 시들지 않고 푸른빛을 띠고 있는 '노루발'을 발견할 수 있다. 녹색빛이 가득한 여름에는 그 존재를 알아채기 힘들지만 모두가 잠든 겨울숲에서는 그 조그만 잎의 푸르름이 대견스럽기도 하고 반갑기도하다. 더운 남쪽지방의 식물들이야 상록의 잎을 가진 식물들이 많지만 '노루발'과 같이 추운지방을 좋아하는 식물 중 상시 푸른잎을 가진 초본식물을 보기는 쉽지 않다. 생명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을 것 같은 겨울철 숲에서도 추운바람을 맞으며 꿋꿋이 살아남아 홀로 숲을 지킨다. '노루발'이라는 이름도 눈덮인 산길에 남기고 간 노루 발자국과 잎이 비슷하여 붙여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노루발
노루발은 우리나라 전국에 널리 분포하며, 꽃은 6-7월에 핀다. 10-20cm 의 꽃줄기가 길게 올라와 윗부분에 5-12개의 백색꽃이 아래를 보며 달린다. 잎은 작년의 묵은잎 위에서 1-8개가 밑부분에 모여나며, 엽신은 길이 4-7cm의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3-8cm의 엽병을 갖는다.
쓰임새로는 꽃이 필 때 풀 전체를 뜯어 그늘에서 말린 것을 녹제초(鹿蹄草)라 하는데, 강장·진통·진정·지혈에 쓰이며, 베서 피가 나오는 데와 뱀과 벌레·개에게 물린 곳에 짓찧어 붙인다. 또한 각기병이 났을 때 이뇨제로 쓰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부인병 관련 약으로 쓰는데, 특히 생리 조절을 위한 약이나 피임약으로 널리 쓰인다고 한다.
대왕나비
대왕나비 수컷 대왕나비 (Sephisa princeps (Fixsen))는 네발나비과(Nymphal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앞날개길이가 수컷은 34-39 mm, 암컷은 38-47 mm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작고 흑색 바탕에 적등색(赤橙色)의 무늬가 있고, 암컷은 흑색 바탕에 백색 무늬가 있다. 앞날개의 가운뎃방과 뒷날개의 앞선두리에 있는 무늬들은 등황색이다.

참나무가 많은 숲 가장자리에서 서식한다. 수컷은 축축한 물가에 잘 모이는데 산 능선이나 정상의 넓게 트인 밝은 곳의 나뭇잎 위에서 점유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반면, 암컷은 약간 그늘진 곳에 모이고 참나무의 진에 잘 모여든다. 암컷은 거미나 다른 애벌레에 의해 말려진 잎 안에 약 160개 정도를 산란한다. 연 1회 발생하며 애벌레로 월동한다.
한국 전역,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