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3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이달의 발간도서
이달에 발간된 연구간행물 산림과학정보를 한눈에!! 이달에 발간된 연구간행물을 소개합니다. 2011 공 ·사유림 산림습원조사 보고서
산

림청은「GIS를 이용한 습지 탐색기법」을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에 걸쳐 우리나라 산림습원의 개념과 범위, 유형분류 등을 위해「산림습지 생태계 조사 및 보전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전국 국유림내에 분포하는 산림습원 조사 사업을 시행하여 새로운 산림습원 275개소를 발견하고, 그 중 보전가치가 높은 91개소에 대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2006년부터 제2차 전국 내륙습지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동강, 한강, 영산강 등 4대강의 수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림지역의 산림습원에 대한 조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습원유형분류와 도면화, 가치평가, 관리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산림청은 공·사유림 내에 존재하는 산림습원을 파악하고, 산림습원 생태계 조사 및 보전·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른 보전, 복원, 창출, 향상방안을 수립하고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에 걸쳐 공사유림 4,856ha에 대한 조사를 계획하였다.

2011 공·사유림 산림습원조사 보고서1, 2011 공·사유림 산림습원조사 보고서2
2010년도에는 1차년도 사업으로서 제주도,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중·서부 18개 시·군·구 지역의 공·사유림지역의 산림습원 조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신규로 밝혀진 산림습원은 129개소(34.19ha) 이며, 순채, 자주땅귀개, 제주고사리삼, 끈끈이주걱, 가는물부추 등 휘귀식물이 분포하는 산림습원은 18개소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정리하여「2010 공·사유림 산림습원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2011년도에는 2차년도 사업으로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및 전라북도 공·사유림지역을 대상으로 산림습원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59개소(29.45ha) 중 19개소에서 끈끈이주걱, 땅귀개, 이삭귀개, 흑삼릉 등 희귀 습원식물이 자생하는 지점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렇게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한 관리방안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2011 공·사유림 산림습원조사 보고서Ⅰ,Ⅱ」를 발간하였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