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이달의 열대식물
8 2013 이달의 열대식물
송정화 / 전시교육과 임업연구사
  • Tillandsia cyanea -키아네아 틸란드시아-
    • 틸

      란드시아는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식물로 400여종이 해당되는 착생식물이다. 미국 남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틸란드시아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자생하는데, 가시가 많은 덤불, 절벽 또는 편평한 모래 바닥에서 덤불로 또는 단독으로 자생한다.
    • 자생지인 페루 안개사막(출처: Wikipedia), 페루 리마에 자생하는 틸란드시아(출처: Wikipedia)
    • 대다수의 종이 MESIC(축축한) 서식지에서 생육하고 몇몇 종은 XERIC(가뭄 또는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한다. 키아네아 틸란드시아는 에콰도르 서부 해발 약 850m에서 자생하는 종으로 비교적 억세게 자라는 편이다. 줄기가 없이 로제트를 형성하며 높이 35cm 까지 자란다. 꽃의 관상가치가 커 유럽에서는 상업적으로 번식시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생(Xeric) 틸란드시아는 심한 건조 기후에서 견딜 수 있는데, 이는 잎에 있는 다양한 분비모(Trichome)의 메카니즘이 때문이다: 잎에는 두꺼운 저수 조직이 발달하여 물 등을 흡수할 수 있는 분비모(잎에 붙어 있는 듯이 보이는 하얀 보풀)의 수를 늘릴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잎의 수는 줄고, 뿌리의 발달이 억제되며, 식물체의 크기가 줄어들어 꽃의 수는 줄고 자가수분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한 기후에서 자라는 틸란드시아는 다른 식물보다 넓은 범위의 극한 환경에서 적응하여 생육할 수 있으며, 적절한 장소에서 주변환경에 적응하기만 하면 특별한 주의가 필요없이 오랜 기간 동안 생육할 수 있다.
    • 학 명 :  Tillandsia cyanea Linden ex K. Koch
영 명 :  Pink Quil 키아네아 틸란드시아(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내)
    • 분비모는 많은 식물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틸란드시아에 있어서 분비모는 매우 발달되어 있다. 틸틸란드시아의 뿌리는 착틸란드시아 잎의 확대 모습 (출처 : IIsley, P.T. 1987. Tillandsia생을 위한 고정의 역할을 하여 유묘일 때 발달하다가 없어지거나 아예 없는 종도 있다. 비가 내리거나, 이슬이 맺히고, 공중 습도가 높을 때 분비모는 수분을 잎 표면에서부터 내부 저수 조직까지 빠르게 이동시킨다. 공중 습도가 높아 빈번하게 수분이 공급되는 지역에서는 분비모의 날개가 잎 표면과 수직으로 분포하여 표피가 잘 마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면(그림 5의 A와 B 상태), 건조한 지역에서는 분비모의 날개가 잎 표면에 수평으로 분포하여 뜨거운 열로부터 잎이 건조해지는 것을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다(그림 5의 C 상태). 또 다른 분비모의 기능은 잎을 상하게 할 수 있는 과도한 햇빛을 반사하여 잎을 보호하기도 한다. 키아네아 틸란드시아의 경우 분비모가 작고 넓게 퍼져 있어 잎이 번들번들하게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틸란드시아 분비모의 수분 흡수 기작. 건조 상태(A, B)에서는 분비모의 양 날개가 수직으로 분포하다가 수분이 흡수되면 수평으로 분포하여(C, D) 분비모에서부터 세포 내부까지의 수분 흡수를 돕고 수분 증발을 막는다. 
(A: 건조 상태에서의 분비모의 모습, B: 건조 상태에서의 분비모의 절단면, C: 다습 상태에서의 분비모의 절단면, D: 기공의 횡단면) 
- 출처: Isley, P.T. 1987. Tillandsia
    • 키아네아 틸란드시아는 다른 건생 틸란드시아에 비해 반그늘 조건을 좋아하므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창문 근처(가급적이면 동쪽, 서쪽 또는 남쪽에 면하면서)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관수하는 방법은 분무 형태로 관수하는 것도 좋으나 흠뻑 적혀 주어야 하는데, 이는 건조 상태 잎 표면의 물은 식물이 미처 흡수하기 전에 증발되거나 물을 흡수했다고 하더라도 물 부족을 극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고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중요한 조건은 통풍인데, 통풍이 나쁘면 식물이 고사하게 되므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매달 식물의 위치를 바꾸어 통풍이 좋은 조건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