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이달의 열대식물
3 2014 이달의 열대식물
안태현, 이선희 / 전시교육과 주무관, 석사후연구원
  • Senecio haworthii -하월티이 세네치오 -
    • 속

      명의 senecio는 라틴어의 senex "노인" 또는 "백발노인" 이라는 뜻으로 흰색의 털에서 유래하며 식물의 흰 털을 노인의 수염에 비교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본 속의 원산지는 세계 각처로 2,000∼3,000 종이 나며 한국에는 17종이 난다.
    • Senecio haworthii(하월티이 세네치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로 줄기는 다육질로 직립하고 높이는 30cm 정도 자란다. 잎은 엽병이 짧고 육질의 방추형으로 길이는 2.5∼5cm 정도 길고 직경은 1cm 정도이다. 진녹색 바탕에 은백색의 털로 덮여 있는 모습은 마치 흰색의 누에고치와 비슷하게 생긴 털이 잎의 전체를 감싸고 있는 것처럼 보여 "Woolly senecio" 즉 "양모 세네치오" 라 불린다. 아프리카에서는 이 식물을 "tontelbos" 라고 하는데 부싯돌을 칠 때 불똥이 박혀서 불이 붙도록 하는 "부싯깃 부시"를 의미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은색의 하얀 털을 뒤집어쓰고 있는 듯한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달이라 하여 "은월" 이라 불린다. 하얀 눈을 뒤집어쓴 것 같기도 하고 뽀얀 하얀 솜털 같기도 한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하월티이 세네치오는 흔하지 않아 더욱 애지중지하게 되는 다육식물 중 하나이다. 마치 그 모습은 놀랍도록 아름다움을 간직하지만 슬픔을 간직한 아름다운 여성의 느낌을 전달하는 것 같기도 하다. 꽃은 오렌지 빛 황색으로 피고 길이는 3cm 정도 되며. 개화기는 가을부터 겨울이다.
    • 학 명 : Senecio haworthii (Haw.) Sch. Bip.
영 명 : Woolly senecio, Coccoon Plant
※ haworthii 는 영국인 A.H. Haworth 의 이름에서 비롯
      Senecio haworthii의 관리 방법은 배수가 잘 되는 토양 즉 마사와 원예 상토(8:2)를 사용하며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서 반그늘에서 관리한다. 너무 많은 물과 그늘에서는 부패하기 쉬운, 즉 다습에 약하므로 관수에 주의하여야 하며, 비교적 건조하게 관리하고 월동온도는 18∼20℃로 16∼30℃에서 잘 생육한다. 번식은 삽목으로 행한다. 분갈이 할 때 흰색털이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물을 줄때도 마찬가지로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Senecio haworthii , Senecio haworthii 꽃 (출처:위키피디아)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