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산림생물연구
5 2014 산림생물연구
김한결 / 산림자원보존과석사후연구원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통도로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통도로

    • 광

      릉숲은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과 내촌면, 남양주시 진접읍과 별내면, 의정부시 민락동과 낙양동에 걸친 동서 약4km, 남북 약8km 구간에 해당한다. 광릉숲 가운데 천연림은 약 1,200ha로 소나무를 비롯하여 참나무류, 서어나무류, 물푸레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소리봉을 중심으로 하는 34ha는 중부지방 온대활엽수림의 극상에 가까운 매우 귀중한 숲이다. 그러나 도시지역과 국립수목원의 교통망 확보를 위해 광릉숲을 관통하는 도로(4.2km)가 개설되었으며, 이러한 도로는 다양한 귀화식물이 정착하고 있는 하나의 침입창으로써, 보호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의 자연성과 건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번 호에서는 광릉숲 생물권 보전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변에 식생과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여 보호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는 생태계 교란방지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광릉숲 관리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광통도로

      광릉숲 관통도로의 식물상 및 귀화식물

      광릉숲 관통도로(4.2km)를 20m 간격으로 186개 방형구(1m2)를 설치한 후, 각 구간 식물상을 기록하였다. 총 61과 191속 283종 35변종 2품종 325분류군의 식물상을 확인하였으며, 관통도로는 9%(분류군)의 귀화율을 보였다. 평균 종풍부도(/m2)는 22종, 최대 44종, 최소 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 풍부도(/m2)는 평균 2종, 최대 8종 그리고 최소 0종으로 나타났다.
      ▶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끈끈이대나물▶ 지느러미엉겅퀴

      광릉숲 관통도로 수관환경

      또한 각 방형구에서 구성 종, 피도(%) 및 수관 환경(광량 및 수관열림도)을 분석하였다. 광릉숲 관통도로의 광량은 최소 15.5%, 최대 81.4% 평균 42.2%(42.2mol/m-2/d-1)이며, 수관열림도는 최소 13.5%, 최대 72.1% 그리고 평균 37.2%로 분석되었다.
      ▶ 국립수목원 후문 관통도로▶ 국립수목원 정문 관통도로 ▶ 광릉숲 관통도로 구간별 피도 및 수관열림도 ▶ 광릉숲 관통도로 구간별 종수 및 광량

      광릉숲 관통로 보전방안

      광릉숲 관통도로의 귀화식물은 주로 인위적 활동이 많은 지점과 광량이 높은 지점에서 풍부하였다. 하지만 관통도로는 차량과 사람의 통행이 빈번하며, 풀베기와 같은 높은 강도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귀화식물의 완전한 억제는 거의 불가능하다. 관통도로와 인접한 숲 지역 가장자리의 식생을 보강하여 귀화식물이 숲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생장벽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