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산림생물연구
  •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알려지는 나방
  • 국립수목원에서 육성한 신품종 소개
  •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곤충연구 3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알려지는 나방
우

리나라 곤충연구는 19세기 초까지는 외국 학자들에 의하여 진행되었고, 이후에 우리나라 곤충학자들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지금도 많은 대학과 국립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조사 되고 있다. 그 중에서 나비목 곤충이 가장 많은 연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 곤충 연구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연구가 많이 된 나비목의 경우만 보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70과 3,702종이 알려진 반면 가까운 일본에서는 80과 6,021종으로 거의 우리나라의 두 배에 가까운 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곤충 연구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많은 연구자가 배출되어야 하며, 연구자가 활발히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도 갖추어야만 할 것이다.

국립수목원에서도 우리나라 산림곤충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매년 많은 신종 또는 미기록종을 발견하여 논문발표를 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그 중에 우리나라에 알려지지 않았던 나방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나방류인 Heliozelidae는 아직 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과(科, family)로 나비목 곤충 중에서 비교적 원시적인 분류군이다. 이 분류군은 성충의 날개편 크기가 10mm 이하로 작으며, 유충이 기주식물의 잎 속에 들어가서 육질부를 먹으며 사는 굴나방류이다. 일반적으로 나방류가 야행성인데 반하여, 이 그룹에 속한 종들은 성충이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이다. 또한, 이 분류군에 속하는 많은 종 들은 성충이 1년에 한번 밖에 발생을 하지 않는 1화성 곤충으로 채집과 연구가 어려워 지금까지 세계적으로도 약 100여종 밖에 알려지지 않은 작은 분류군이다. 국립수목원에서 수행한 곤충조사에서 층층나무를 기주로 하는 한 종이 발견되어 관련학회에 보고를 하였다.

층층나무날개나방)

성충의 크기 : 8~9 m, 특징 : 머리와 가슴은 금색으로 금속광택이 있다. 앞날개의 바탕은 보랏빛 광택이 있는 짙은 갈색이며, 흰색의 반문(무늬)이 
               전연에 두 개, 후연에 2개가 있다. ,생태 : 성충은 5월 하순에 기주식물 근처에서 비행을 한다. 유충은 5월말에서 6월초에 층층나무의 잎에 잠공을 하고 6월 중순경 케이스를 만들어 땅으로 떨어진다.
                유충은 케이스 안에서 월동을 하고 다음해에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된다.기주식물 : 층층나무 1. 유충     2. 잠공(유충은 기주식물의 잎 속에서 잎의 육질부를 먹고 산다     3. 잠공흔적(다 자란 유충은 기주식물의 표피를 잘라
케이스를 만들어 땅에 떨어진다)     4. 케이스(땅에  떨어진 케이스, 유충은 이 안에서 다음해 봄까지 기다렸다가 우화한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