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3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산림생물연구
  • 산림 식물의 계절성 조사 ·연구
  • 한국산 너도바람꽃속의 종자 형태 비교
한국산 너도바람꽃속(미나리아재비과)의 종자 형태 비교
너

도바람꽃속은 아시아와 유럽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는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 3종이 서식한다. 산림청 지정 너도바람꽃은 희귀종, 변산바람꽃은 희귀·특산종, 풍도바람꽃은 특산종으로 지정되어있다. 대부분의 너도바람꽃속 연구는 종자의 외부형태만이 기재되어 있거나, 너도바람꽃과 변산바람꽃의 외부형태와 미세형태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너도바람꽃속 3종의 종자 외부형태 및 미세형태를 관찰하여 각각의 종을 식별할 수 있는 분류학적 검색키를 탐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종자의 외부형태

너도바람꽃속 3종의 과실 형태는 골돌과이며, 종자형태는 구형, 종피색깔은 주황색으로 관찰되었다. 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 풍도바람꽃>변산바람꽃>너도바람꽃 순으로 나타났고, 종자의 천립중(g/1,000립)은 변산바람꽃>풍도바람꽃>너도바람꽃 순으로 나타났다.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풍도바람꽃

종자의 내부형태

미나리아재비과의 특징인 작은 구형으로 미성숙한 상태(rudimentary)의 배가 관찰 되었다.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풍도바람꽃

종자의 미세구조

종자 표면은 전체적으로 주름진 모양(irregularly wrinkled)을 하고 있으며, 표피세포 역시 3종 모두 망상구조(reticulate)로 관찰되어 두드러진 차이점이 없었다. 그러나 변산바람꽃과 풍도바람꽃에서 표피세포로부터 유래된 단세포모용이 관찰되며 너도바람꽃과 큰 차이점으로 관찰되었다.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풍도바람꽃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