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수원 2011.6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산림생물연구
  • 희귀·특산식물24종 분포지발견
  • 국가식물표준목록
  • 나무, 숲이야기가 있는 광릉숲
나무 그리고 숲 이야기가 있는 곳, 광릉숲

봄 이 지나고 여름으로 넘어가는 길목인 요즘, 광릉숲과 그 주인이 되는 나무들은 하루하루 그 생기를 더하고 있다. 광릉숲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졸참나무 노령림이다. 비교적 숲의 나이가 어린 우리나라에서, 광릉숲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노령림의 수준을 넘어선 우량 노령림(super old growth forest)으로 부를 수 있다.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알려져 있는 우리나라 대표숲, 광릉숲에는 왜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을까. 다양한 생물이 있다는 것과 함께, 다양성을 창출하는 요소들에 대한 이해는 광릉숲 보존과 그 가치의 자원화에서 핵심이 된다. 광릉숲이 가진 생물 다양성의 배경이 되는 나무와 숲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큰 나무

국립수목원이 자리잡고 있는 광릉숲에는 큰 나무가 무척이나 많다. 이러한 큰 나무들은 전나무, 밤나무, 굴참나무 그리고 졸참나무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광릉숲 조류를 대표하는 크낙새, 곤충을 대표하는 장수하늘소 등의 생물종은 큰 나무가 많은 숲에서만 서식하는 특성이있다. 이러한 서식처 선호성이 뚜렷한 종들에게 광릉숲의 큰 나무들은 더할 나위 없는 완벽한 보금자리가 된다.
천연기념물 크낙새, 천연기년물 장수하늘소
광릉숲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큰 나무가 쓰러진 것과 죽은 나무들이 분해되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숲을 구성하던 나무가 수명을 다하여 쓰러져 생긴 구멍을 숲틈이라고 하는데, 이곳에는 빛이 풍부하고, 바람이 불어들어 인접한 숲과는 다른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다. 숲의 나이가 있듯이, 숲틈 역시 나이가 있으며 그것에 따라 광량 등의 환경조건이 다르게 나타난다. 광릉숲에서와 같이 큰 숲틈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숲 발달단계에서 숲틈 형성단계 (gap phase)라고 부르는데, 성숙림 이상에서 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숲이 이러한 수준에 이르러, 일정한 공간에 다양한 연령의 숲틈으로 구성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동적평형상태 (Dynamic equilibrium)라고 한다. 숲의 나이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종이 변하게 되는데, 숲틈 역시 연령에 따라 다양한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게 된다. 이렇듯 살아있는 나무 뿐만 아니라, 광릉숲의 죽은 큰 나무의 역할은 서식처 다양성을 창출하는 핵심 요소가 된다.
쓰러진 큰 나무와 분해되는 작은 나무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광릉숲 내부, 숲틈 변화

오래된 숲

광릉숲은 오랜 역사에 걸쳐 생태적 온전성(ecological integrity)을 기반으로 그것의 건강성과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 숲은 크게 산지림(montane forest)과 하변림(riparian forest)으로 구분한다. 우리나라는 하변 범람원인 저지대를 대부분 농경지 또는 도시화 지역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평지림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광릉숲은 오랜 세월과 넓은 면적에 걸쳐 두가지 숲이 모두 존재하고 있고, 산림생태계, 하변생태계 그리고 하천생태계가 연속되어 성립하고 있는 매우 독특한 지역이다. 광릉숲의 생태계 연결성은 양서류와 같은 하변과 산지를 동시에 이용하는 생물의 다양성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며, 광릉숲의 온전성을 완성하는 특성이 된다. 한편, 광릉숲 저지대의 갈참나무숲은 우리나라 다른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식생자원이 된다.
최근, 노령림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기능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유령림에서도 많은 종들이 서식하지만, 노령림은 어린 숲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를 선호하는 종들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광릉의 오래된 숲은 종의 다양함 뿐만 아니라, 숲의 연령이 다양하지 못한 우리나라 숲의 기능적 다양성 측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숲면적의 10%이하로 남아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노령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생태계 탄소저장능을 감소시켜 지구 기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온대 및 한대 지역 노령림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결과는 오래된 숲이 이산화탄소를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노령림의 새로운 기능은 지속적인 조림을 통한 이산화탄소 및 오염물질의 흡수원 확대 뿐만 아니라, 광릉숲과 같은 노령 및 성숙림의 기능과 보전의 중요성, 그리고 숲 발달 촉진을 통한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